본문 바로가기
전국 수석의 국가고시 핵심 정리/1교시 물리치료 기초

해부생리 part.01 <인체의 구분과 조직>

by 피티구 2025. 2. 6.
반응형
2019년도 ~ 2024년도 국가고시 기출문제를 기반으로, 출제 성향을 파악해 작성한 핵심 내용입니다.
출판사 문제집이나 모의고사에서는 자주 출제되지만, 국가시험 기출문제로는 거의 출제되지 않는 영역들은 제외시켰습니다.
대개 단일 문제로는 출제되지는 않지만 다른 영역 문제 풀이에 필요한 기초적인 용어에 대한 내용, 예를 들어 "몸의 면에 대한 용어(ex.정중면, 이마면)", "위치와 방향에 대한 용어(ex.superior, medial)", "돌출부와 함몰부에 대한 용어(ex. 결절, 융기, 고랑)" 등에 대한 내용은 제외시켰습니다.

 

1. 인체의 구분과 조직
인체의 구분, body cavity
배쪽 몸안 가슴안 ∙구분: 심장막안, 가슴막안
∙허파, 심장, 가슴대동맥, 식도, 기관지, 가슴샘
배안 ∙간, 이자, 지라, 위, 작은창자, 큰창자, 콩팥, 부신
골반안 ∙방광, 생식기
등쪽 몸안 머리안 ∙뇌
척추안 ∙척수
가로막 ∙가슴안과 배안의 경계
세포
세포질 ∙세포에서 핵을 제외한 나머지 ∙세포소기관이 존재
막성 ∙사립체, 세포질그물, 골지체, 용해소체, 과산화소체
비막성 ∙중심소체, 섬모, 편모, 리보솜, 세포뼈대(미세섬유, 미세관)
세포소기관
∙막성

사립체 ∙3대영양소산화, 세포호흡, ATP 생산, TCA 회로, 이중막, 자체DNA
거친 세포질그물 리보솜 부착, 단백질 합성 관여, 물질의 이동통로(물질수송)
∙이자의 외분비세포, 위샘의 으뜸세포에서 발달
매끈 세포질그물 리보솜 없음, 지질 및 콜레스테롤 합성, 스테로이드, 호르몬 합성
∙간에서 해독작용과 글리코겐 합성, 근육에 칼슘저장, 염산분비
골지복합체 ∙핵과 세포질 근처에 위치, 적혈구를 제외한 모든 세포에 존재
물질 농축(포장)-배출(저장, 성숙, 분비)(단백질 운반)(세포분비물)
용해소체 ∙방어작용: 이물질 분해작용(포식작용) ∙가수분해효소(자가용해)
∙백혈구(중성구)와 큰포식세포에 많이 존재
과산화소체 ∙간,콩팥에서 과산화수소를 분해(독소제거)
세포소기관
∙비막성
원섬유 ∙근육원섬유, 신경원섬유, 당김원섬유(창자상피세포)로 구성
∙세포의 구조 유지, 수축, 운동에 관여
미세관 ∙세포의 지지기능 및 세포뼈대 구성 ∙세포 내 물질이동
중심소체 세포분열 시 가장 활발, 방추섬유 형성(염색체이동), 분극 조절
리보솜 RNA+단백질단백질 합성 관여(mRNA명령)
포식세포 쿠퍼세포 ∙간 랑게르한스세포 ∙피부(바닥층)
먼지세포 ∙폐(허파꽈리) 미세아교세포 ∙뇌
세포막 인지질 ∙인지질이중층: 머리(친수성), 꼬리(소수성) ∙콜레스테롤: 막의 안정성
단백질 ∙내재성(통로)단백질: 세포막의 이온통로, 물질운반, 수용체 작용
∙표재성(주위)단백질: 효소로 작용, 세포의 형태유지에 관여

조직
상피조직
∙기능분류
표면상피 ∙몸의 표면과 속공간의 내면상피(보호, 흡수작용)(덮개상피)
샘상피 ∙분비작용 ∙내분비샘: 갑상샘, 뇌하수체, 부신
∙외분비샘: 간, 이자, 침샘, 땀샘
생식상피 ∙고환의 세정관과 난포상피
신경상피 ∙특수감각기에만 존재 ∙망막, 속귀, 코점막, 후각세포, 맛봉오리 등
감각상피 ∙특수감각기에 존재 ∙망막의 원뿔세포와 막대세포, 속귀에 털세포 등
종자상피 ∙고환이나 난소에 있는 상피 ∙정자와 난자를 생성
상피조직
∙배열분류

단층편평상피 혈관, 허파꽈리, 림프관, 토리주머니, 가슴막, 심장막
중층편평상피 표피, 식도, 구강, 후두, 성대, 항문, 질
단층입방상피 콩팥세관, 난소표면, 외분비샘, 감상샘 ∙중층입방상피: 땀샘
이행상피 요관, 방광, 요도, 콩팥깔떼기 등 수축과 이완능력이 있는 조직
원주상피 단층원주상피 소화기계: 위, 창자, 점막상피
단층섬모원주상피 자궁: 자궁속막, 자궁관 등
거짓중층섬모원주상피 ,: 기도, 점막, 귀관
섬모상피 ∙원주상피가 변형된 것으로 세포의 표면에 털 모양의 돌기가 있음(섬모)
외분비샘 샘분비형 ∙침샘, 땀샘, 이자샘 완전분비형 ∙기름샘
부분분비형 ∙젖샘(땀샘변화), 겨드랑이, 음부, 항문샘
결합조직

고유결합조직 성긴결합조직 ∙지방조직
치밀결합조직 ∙힘줄, 인대, 진피
특수결합조직 연골, , 혈액, 림프
고유결합조직

섬유성분 아교섬유 가장 많음, 다발 형성, 콜라겐 구성(뼈,인대,힘줄등)
탄력섬유 ∙엘라스틴 구성 (대동맥, 탄력연골, 탄력인대 등)
그물섬유 ∙구조물 결속, 콜라겐 구성 (골수, 지라, 림프조직 등)
세포성분 섬유모세포 ∙성긴결합조직중 가장 많음, 섬유질과 바탕질 합성
큰포식세포계통 ∙아메바운동, 포식작용(큰포식세포, 단핵구)
지방세포 ∙지방 합성/저장 형질세포 ∙면역글로불린 분비
술잔세포 ∙내장,점액 분비
, 기관 위치
비만세포 헤파린, 히스타민, 세로토닌 분비
연골 유리연골 대부분의 연골 ∙갈비/기관/후두 연골, 코사이막 등
탄력연골 ∙탄력성이 높음 ∙귓바퀴, 후두덮개 등
섬유연골 충격흡수 ∙척추사이원반, 관절연골, 두덩사이원반 등
∙연골은 혈관, 림프, 신경의 분포가 없음
바탕질 ∙결합조직의 여러 세포와 섬유가 매몰된 겔 상태의 액체
∙세포와 모세혈관 사이의 영양분과 노폐물을 운반
∙물리적 관문: 미생물이나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

물질 수송
확산 ∙농도차로 인한 용질의 이동(고농도➜저농도)
∙촉진요인: 농도경사↑, 지질용해성↑, 온도↑, 분자지름↓
허파꽈리(폐포)의 가스교환(분압차에 의한 확산) ∙태반의 물질교환
삼투 ∙농도차로 인한 용매의 이동(저농도➜고농도)
적혈구용혈현상(저장액), 정상(등장액), 원형질 분리(고장액), 혈장삼투압
여과 ∙정수압으로 인한 용질과 용매의 이동 (압력차이)
콩팥의 토리여과(오줌생산), 부종(모세혈관➜조직액), 림프액생산
촉진확산 운반체를 이용한 이동
∙포도당과 아미노산의 이동
능동운반 ATP를 사용해, 농도경사를 역행(저농도➜고농도)
Na+-K+pump, Ca+pump

뼈조직의 구조와 분류 ★ 
뼈형성세포 ∙배아중간엽에서 발달, 뼈모세포로 분화
뼈모세포 ∙뼈바탕질을 생성하고 무기질 침착을 유도하여 뼈 형성에 관여 ∙뼈막에서 분화
뼈세포 ∙뼈가 형성되면서 바탕질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성숙 뼈세포, 가장 많음
∙뼈세관을 통해 인접한 뼈세포 사이의 물질교환을 함
뼈파괴세포 ∙용해소체를 함유한 세포
∙뼈모세포에서 형성된 뼈를 흡수하여 골수공간, 혈관 및 신경의 통로를 만듦
뼈바탕질 ∙유기성분과 칼슘, 인 등의 무기성분으로 구성(석회화된 세포사이질)
뼈의 구조
뼈끝 ∙뼈의 양쪽 끝부분에 돌출되어 있는 관절돌기, 해면뼈로 구성된다.
뼈끝선 뼈의 길이 성장에 관여, 성장이 끝나면 뼈끝판의 연골이 뼈(치밀뼈)로 대체된 것
뼈몸통끝 ∙뼈몸통과 뼈끝 사이의 부분
뼈막 ∙뼈의 보호, 부피 성장 재생에 관여하는 막, 이중막으로 구성
∙관절연골로 덮여 있는 관절면을 제외한 뼈의 모든 바깥면을 둘러쌈
∙혈관과 신경 분포, 힘줄과 인대의 부착점 ∙벗겨지면 생존이 불가능
뼈속막 ∙해면뼈의 잔기둥과 골수공간을 덮는 섬세한 결합조직막
뼈잔기둥 해면뼈의 기본단위, 뼈의 중간층에 위치, 뼈잔기둥 사이 공간에 골수가 들어있음
골수공간
∙뼈속질공간
∙골수로 채워진 일종의 골수공간
적색골수 ∙조혈작용: 복장뼈, 갈비뼈, 엉덩뼈, 머리뼈, 척추뼈 등
황색골수 ∙적색골수에 지방 침착
치밀뼈
∙바깥층
∙신경과 혈관이 통과하는 하버스관(중심관)볼크만관(가로관)이 배열되어 있음
∙뼈의 가장 바깥층에 위치한 구조물 ∙하버스관: 뼈단위의 중심, 세로방향
해면뼈 잔기둥의 형태로 배열되며, 잔기둥 사이에는 혈액을 생산하는 골수공간이 있음
뼈의 종류
긴뼈 ∙위팔뼈, 노뼈, 자뼈, 손허리뼈, 손가락뼈, 넙다리뼈, 정강뼈, 종아리뼈, 손가락뼈 등
짧은뼈 ∙손목뼈, 발목뼈 등 불규칙뼈 ∙척추뼈, 볼기뼈, 광대뼈 등
납작뼈 머리뼈, 갈비뼈, 복장뼈, 어깨뼈 등 ∙대부분 조혈작용이 일어나는 뼈
종자뼈 ∙무릎뼈, 콩알뼈도 종자뼈의 기능을 함
공기뼈 ∙코곁동굴: 이마뼈, 나비뼈, 벌집뼈, 위턱뼈, 아래턱뼈
뼈의 발달과 성장
막속뼈되기 ∙결합조직의 중간엽세포가 뼈모세포로 분화되면서 시작: 결합조직의 막이 직접 뼈로 대체
∙뼈모세포에 칼슘염이 침착되어 뼈가 형성되며 대부분 납작뼈의 뼈되기 과정이다.
연골뼈되기 ∙약 생후 6개월에 시작되어 20세까지 지속, 대부분의 긴뼈의 뼈되기 과정이다.
∙뼈형태의 유리연골에 연골이 흡수되고 칼슘이 침착되면서 뼈가 형성되는 과정이다.
뼈끝판(성장판): 일차와 이차뼈되기중심 사이에 남아있는 연골
관절연골: 뼈끝의 연골이 뼈되기가 일어나지 않아 연골형태로 남아있는 것
일차뼈되기 ∙뼈되기중심: 뼈몸통 ∙형성된뼈의 성분: 해면뼈 > 치밀뼈 성분
이차뼈되기 ∙뼈되기중심: 뼈끝 ∙해면뼈 < 치밀뼈 성분, 연령판단의 기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