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부학의 기초, 예를 들어 뼈의 위치와 이름에 대한 내용은 따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뼈대계 해부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은 각 뼈들의 랜드마크, 다른 뼈들과 겹치지 않는 특징들입니다. 특징의 기준은 운동학과 병리학적 측면과 관계되는 것이 중점입니다.
추후에 지금 배운 랜드마크들이 운동학과 병리학(ex.비정상적 움직임)과 어떻게 관계되는지를 확인해 보세요.
2. 뼈대계 해부
몸통뼈대 ★ ★ ★ | ||
뇌머리뼈 ∙8개 |
이마뼈 1 | ∙이마와 눈확의 천장 및 코안의 윗부분 형성, 마루뼈와 관상봉합 형성 |
마루뼈 2 | ∙두개, 위시상정맥동굴고랑, 마루뼈구멍: 이끌정맥 통로, 시상봉합 형성 | |
관자뼈 2 | ∙바위부분: 안쪽귀길, 고실부분: 바깥귀길, 꼭지부분: 꼭지돌기 ∙두개 ∙붓꼭지구멍을 통해 얼굴신경이 통과 ∙평형, 청각기 함유 |
|
뒤통수뼈 1 | ∙비스듬틀: 숨뇌와 다리뇌 위치(나비뼈와 관절), 큰구멍: 척수 통로 | |
나비뼈 1 | ∙머리뼈바닥의 일부 형성, 터키안장: 뇌하수체 위치, 날개돌기 ∙큰날개: 원형구멍(위턱신경), 타원구멍(아래턱신경), 가시구멍(중간뇌막동맥) ∙작은날개: 시각신경관, 위눈확틈새(눈확의 혈관과 신경 통로) 위치 |
|
벌집뼈 1 | ∙코뼈와 나비뼈 사이 위치, 코중격의 일부를 형성 ∙벌집체판(구멍): 후각신경의 통로, 벌집뼈미로: 수직판, 코선반 형성 |
|
얼굴뼈 ∙15개 |
위턱뼈 2 | ∙위턱굴: 가장 큼 ∙이마돌기, 광대뼈돌기, 이틀돌기, 입천장돌기 |
입천장뼈 2 | ∙수평판: 위턱뼈와 입천장뼈가 단단입천장 형성(+위턱뼈) ∙수직판 ∙L자 | |
코뼈 2 | ∙코 위쪽의 직사각형 모양 뼈로 콧대를 형성 ∙콧등과 바깥콧길로 구성 | |
광대뼈 2 | ∙눈확의 가쪽과 아래쪽 벽을 형성 ∙이마뼈/관자뼈/위턱뼈의 돌기와 관절 | |
눈물뼈 2 | ∙가장 작은 뼈, 눈확의 안쪽 벽을 형성 ∙코눈물관과 교통 | |
보습뼈 1 | ∙사각형의 얇은 구조, 얇은 판(쟁기) 모양으로 코중격의 바닥을 형성 | |
아래턱뼈 1 | ∙얼굴뼈 중 가장 튼튼 ∙근육돌기: 씹기근육 부착 ∙관절돌기: 관자뼈와 턱관절 형성 ∙턱뼈패임 |
|
목뿔뼈 1 | ∙말발굽 모양(U자) ∙다른 뼈와 관절하지 않고 목뿔뼈근육에 의해 고정 | |
아래코선반뼈 2 | ∙얇고 두루마리 모양의 뼈, 조개껍질 모양 ∙코의 내강 형성 | |
눈확 ∙안구 수용 ∙피라미드 모양 |
∙이마뼈 ∙나비뼈 ∙광대뼈 ∙눈물뼈 ∙벌집뼈 ∙위턱뼈 ∙입천장뼈 | |
위벽 | ∙이마뼈 눈부위 + 나비뼈 작은날개 | |
아래벽 | ∙위턱뼈 눈부위 + 입천장뼈 | |
안쪽벽 | ∙눈물뼈 + 벌집뼈 + 위턱뼈 이마돌기 | |
가쪽벽 | ∙광대뼈 눈확면 + 나비뼈 큰날개 | |
위눈확틈새 | ∙눈돌림신경, 도르래신경, 갓돌림신경 눈신경 및 위눈정맥 통과 | |
아래눈확틈새 | ∙나비뼈와 위턱뼈 사이, 눈확아래동맥, 정맥, 위턱신경 통과 | |
코안 | ∙벌집뼈 ∙보습뼈 ∙위턱뼈 ∙입천장뼈 ∙코선반뼈 ∙벌집뼈의 수직판과 보습뼈로 이루어진 코중격에 의해 왼쪽과 오른쪽 구분 ∙호흡계통 시작 |
|
위쪽벽 | ∙이마뼈와 코뼈, 나비뼈, 벌집뼈 체판으로 구성 | |
아래벽 | ∙위턱뼈 입천장돌기와 입천장뼈의 수평판으로 구성 (단단입천장) | |
가쪽벽 | ∙벌집뼈 가쪽덩이와 입천장뼈 수직판과 코선반뼈로 구성 | |
코곁굴 | ∙코안을 둘러싸는 머리뼈 일부에 공기가 차있는 공간, 코안과 서로 교통하는 곳 | |
이마굴 | ∙이마뼈 미간부위에 형성, 중간콧길을 통해 코안과 교통 | |
나비굴 | ∙나비뼈 몸통에 형성, 위콧길을 통해 코안과 교통 | |
벌집굴 | ∙벌집뼈로 형성되며 한 쌍으로 존재, 위콧길과 중간콧길을 통해 교통 | |
위턱굴 | ∙위턱뼈로 형성되며 중간콧길을 통해 교통 ∙가장 큼(염증빈발: 축농증) |
몸통뼈대 | |||||||
머리뼈바닥 | 앞머리뼈우묵 | ∙이마뼈의 눈확부분 + 벌집뼈의 체판 + 나비뼈 작은날개로 형성 | |||||
중간머리뼈우묵 | ∙나비뼈 큰날개 + 관자뼈로 형성 ∙위턱뼈 관자엽과 뇌하수체 수용 ∙시각신경관(시각신경 통과), 뇌하수체오목(안장), 원형/타원/가시 구멍 ∙위눈확틈새: 안구로 가는 신경과 혈관의 통로 (4개뇌신경) |
||||||
뒤머리뼈우묵 | ∙뒤통수뼈 + 관자뼈 형성 ∙소뇌, 숨뇌 수용 ∙큰구멍, 속귀길 | ||||||
봉합과 숫구멍 | |||||||
관상봉합 | ∙이마뼈와 마루뼈 사이의 봉합 | 시옷봉합 | ∙마루뼈와 뒤통수뼈 사이의 봉합 | ||||
시상봉합 | ∙양쪽 마루뼈 사이 봉합 | 비늘봉합 | ∙마루뼈와 관자뼈 사이의 봉합 | ||||
앞숫구멍 | ∙가장 크고, 가장 늦게 폐쇄 ∙마름모 형태, 생후 18개월~2년 사이 폐쇄 ∙관상봉합과 시상봉합 사이 ∙마루뼈와 이마뼈 사이 |
||||||
뒤숫구멍 | ∙삼각형 형태, 생후 2~3개월 사이 폐쇄 ∙시상봉합과 시옷봉합/마루뼈와 뒤통수뼈 사이 | ||||||
앞가쪽숫구멍 | ∙사각형 형태, 생후 3~6개월 사이에 폐쇄 ∙관상봉합과 비늘봉합점 ∙이마뼈, 마루뼈, 관자뼈, 나비뼈 사이 |
||||||
뒤가쪽숫구멍 | ∙생후 1~1.5년 사이 폐쇄 ∙시옷봉합과 비늘봉합점, 마루뼈와 뒤통수뼈, 관자뼈 사이 | ||||||
척추뼈 | |||||||
특징 | 목뼈 | 등뼈 | 허리뼈 | ||||
몸통 | 작다 | 크다 | 가장 크다 | ||||
갈비뼈관절면 | 없다 | 있다 | 없다 | ||||
척추뼈구멍 | 크고 삼각형 | 작고 둥근형 | 중간이고 삼각형 | ||||
위관절돌기 방향 | 뒤위쪽 | 뒤바깥쪽 | 안쪽 | ||||
가로돌기 | 작고 구멍 있음 | 크고 갈비관절면 있음 | 길고 가늘다 | ||||
가시돌기 | 짧고 두 갈래 뒤아래를 향함 |
길고 두껍다 아래를 향함 |
넓고 두껍다 뒤를 향함 |
||||
척추뼈고리판 | 길고 위모서리가 얇다 | 넓고 뚜겁다 아래위 것이 서로 겹친다 |
넓고 짧다 가장 두껍다 |
척추 ★ ★ ★ | ||
척주 | ∙성인 26개, 신생아 32~35개 ∙척추사이원반 23개 ∙척추사이구멍 29쌍 ∙척추사이구멍: 척수신경과 척추혈관의 통로, C1-C7有, 척추사이원반: C1-C2사이無 |
|
척주굽이 | 1차굽이 ∙생리학적 굽이 |
∙등굽이와 엉치굽이 ∙태아 때 내장의 형성을 돕기 위해 형성(C자) |
2차굽이 | ∙목굽이: 고개를 들고 앉기 시작할 때 형성(3~9개월) ∙허리굽이: 걷기 시작하면서 형성(12~18개월) |
|
Cervical | ∙목뼈는 가시돌기가 이분되어 있다. ∙목뼈의 돌기사이관절면은 수평면을 향함(45°) | |
C1Atlas(고리뼈) | ∙척추뼈몸통과 가시돌기無 ∙고리뒤통수관절: 머리의 위아래 움직임(끄덕임)(타원관절) | |
C2Axis(중쇠뼈) | ∙치아돌기, 날개인대 有 ∙고리중쇠관절: 머리의 좌우 움직임(도리도리)(중쇠관절) | |
C7Prominens | ∙솟을뼈 ∙척추뼈 위치의 기준 ∙C5-C6: 목뼈에서 운동량이 가장 많음 | |
Thoracic | ∙11, 12 등뼈에는 가로돌기갈비오목이 없고, 갈비뼈와 한번만 관절(평면관절) ∙T1,T11,T12는 갈비뼈 머리와 단독 연결, 나머지 갈비뼈 머리는 2곳의 등뼈와 연결 ∙T2: 어깨뼈 위각 ∙T3: 어깨뼈 가시(뿌리) ∙T7: 어깨뼈 아래각 ∙T6: 자율신경반사이상이 발생하는 레벨 ∙돌기사이관절면이 이마면을 향함(60°) ∙T12: 어깨뼈 아래각과 엉덩뼈 능선의 중간지점 ∙등뼈는 몸통이 넓고, 심장형, 가시돌기가 길고 아래로 뻗음 |
|
Lumbar | ∙꼭지돌기, 덧돌기有 ∙허리천자: L3-L4 사이 ∙돌기사이관절면이 시상면을 향함(90°) ∙척추사이원반탈출은 대부분 L4-L5 뒤쪽에서 발생 ∙L3-L4: 엉덩뼈 능선 높이 |
|
Sacrum | ∙귓바퀴면: 엉덩뼈와 관절 ∙엉치뼈곶: S1의 몸통, 위쪽 돌출부, 골반안의 시작 ∙앞면: 4개의 가로선과 4쌍의 엉치뼈구멍이 있음 ∙뒷면(융기): 정중엉치뼈능선(가시돌기융합), 중간엉치뼈능선(관절돌기융합), 가쪽엉치뼈능선(가로돌기융합) 존재 |
|
Coccyx | ∙3~5개의 뼈가 1개로 융합 |
전형적인 목뼈/등뼈/허리뼈의 특징 ★ | |
목뼈 |
∙돌기사이관절면이 수평면에 가깝고, 상대적으로 편평하며 45도의 각도로 뒤쪽과 위쪽을 향한다. ∙C3-C6영역은 관절면이 이마면과 수평면 사이에서 45°이고, 모든 운동면의 움직임이 가능하다. ∙가쪽굽힘은 같은 방향 돌림과 짝운동을 이룬다. ∙척추뼈몸통은 뒤고리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작다. ∙척추뼈몸통의 뒤가쪽 가장자리 부분에서 루시카의 갈고리돌기관절이라는 작은 윤활관절 존재 ∙척추뼈고리뿌리는 짧고 척추원반의 지붕과 바닥 역할 ∙척추뼈고리판은 편평하고 가시돌기는 C7을 제외하고 두갈래로 나뉘어져 있음 ∙척추관은 목뼈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크며, 이는 척수의 목뼈 팽대 위에 필요한 공간을 제공한다. |
등뼈 |
∙돌기사이관절면이 이마면에 가깝다. ⤷약 15도의 앞쪽경사 / 이마면에서 60~70도 ∙T2-T6영역은 관절면이 이마면에 20°이고 해부학적 위치에서 모든 운동면의 움직임 가능 ∙갈비뼈로 인해 가쪽굽힘보다 돌림 작용이 큼 ∙가슴속 장기들을 위한 보호영역 제공 ∙호흡을 위한 역학적 공기통 구조의 제공 ∙척주에서 역학적으로 가장 안정 ∙갈비가로돌기관절은 척추뼈 가로돌기의 갈비관절면과 갈비뼈의 앞결절 사이의 관절 (뜬갈비는X) ∙갈비뼈머리관절은 척추뼈몸통의 갈비관절면과 갈비뼈의 갈비뼈머리 사이의 관절 |
허리뼈 |
∙돌기사이관절면이 시상면에 가깝고, 수직을 향한다. ∙L2-L4영역은 관절면이 시상면에 25°이고, 대부분 굽힘/폄만 나타난다. ∙위쪽 관절면이 뒤쪽과 안쪽을 향하고 있어, 가쪽굽힘과 돌림이 제한됨 ∙굽힘자세에서, 가쪽굽힘은 같은 쪽 돌림과 짝운동 ∙폄 자세에서, 가쪽굽힘은 반대 쪽 돌림과 짝운동 |
엉치뼈 | ∙엉치엉덩관절은 편평하여 전단력 저항 능력 부족 ∙엉치뼈의 움직임을 뒤틀림(torsion)이라고 하며, 가쪽굽힘과 반대쪽 돌림을 가진 짝운동을 나타냄 |
※ 위 내용은 운동학 영역과 연계됩니다.
척추뼈의 보강인대 ★ ★ ★ | |
앞세로인대 | ∙뒤통수뼈 바닥부에서 엉치뼈까지 연결 ∙척주의 과도한 폄 제한 |
뒤세로인대 | ∙C2~엉치뼈 사이 척추뼈몸통 뒷면을 감싸고 있음 ∙척추원반탈출(후방)의 원인 |
황색인대 | ∙탄력섬유가 풍부하고 황색을 띔 ∙허리뼈부위가 두껍고 강함 |
목덜미인대 | ∙바깥뒤통수뼈 융기와 C7 가시돌기 사이 위치 ∙목의 왼쪽과 오른쪽 구분, 탄력성 |
기타 인대 | ∙가시끝인대(목덜미인대의 연장) ∙가시사이인대 ∙가로돌기사이인대 |
날개인대 | ∙중쇠뼈에 위치, 머리의 회전운동을 억제 |
가로인대 | ∙고리뼈에 위치, 중쇠뼈 차이돌기와 관절해 회전운동 |
가슴우리 ★ ★ ★ | |
∙가슴우리는 심장, 허파, 가슴세로칸을 수용하며, 등뼈, 복장뼈, 갈비뼈로 이루어져 있다. | |
Sternum | ∙복장뼈몸통: 골수천자 부위 ∙갈비패임: 갈비연골(7쌍) ∙빗장패임: 빗장뼈와 관절 ∙칼돌기: 청년기에 뼈되기, 보바스 키포인트, 가로막과 배곧은근 부착 ∙복장뼈각: 제2갈비뼈 부착, T4~5 높이, 기관이 기관지로 갈라지는 부위, 식도의 제2분기부 |
Rib | ∙참갈비뼈:1~7 ∙거짓갈비뼈: 8~12 ∙뜬갈비뼈: 11~12 ∙7~8번 갈비뼈는 가장 길고 갈비사이공간이 넓음(가슴막안천자 부위) |
팔 이음뼈 ★ ★ ★ | ||||||
Scapula | ∙어깨뼈 봉우리 ∙관절오목 ∙위/아래/가쪽각 ∙위/안쪽/가쪽모서리 ∙부리돌기 ∙어깨관절: 어깨뼈 접시오목과 위팔뼈머리의 관절(오목테두리有), 운동영역이 가장 큼 |
|||||
Clavicle | ∙인체에서 뼈되기가 가장 먼저 시작되는 곳 ∙팔과 몸통 연결의 유일한 뼈 ∙복장빗장관절: 안장관절(내밈/들임: Concave), 갈비빗장인대(빗장뼈와 첫쨰 갈비뼈 사이) ∙봉우리빗장관절: 평면관절, 봉우리빗장인대, 부리빗장인대(원뿔+마름인대) ∙부리빗장관절: 어깨뼈 부리돌기와 빗장뼈 사이의 인대결합(부리빗장인대) |
|||||
팔뼈 ★ ★ ★ | ||||||
Humerus | ∙외과목: 골절이 빈번하게 발생 ∙어깨세모근거친면 ∙노신경고랑 ∙위팔뼈도르래: 자뼈의 도르래패임과 관절 ∙팔꿈치오목, 갈고리오목, 관절융기 ∙작은머리: 노뼈의 노뼈머리오목과 관절 ∙인체의 거친면: 위팔뼈, 자뼈, 노뼈, 넙다리뼈, 정강뼈 |
|||||
Forearm | 자뼈 | ∙팔꿈치머리: 위팔뼈 팔꿈치오목과 관절 ∙갈고리돌기: 위팔뼈 갈고리오목과 관절 ∙도르래패임: 위팔뼈 도르래와 관절 ∙몸쪽노자관절: 노패임에 노뼈와 관절: 머리띠인대(고리인대) 부착(중쇠관절) ∙아래끝(먼쪽): 붓돌기, 자뼈머리 ∙자뼈거친면에 위팔근 부착 |
||||
노뼈 | ∙노뼈거친면에 위팔두갈래근 부착 ∙아래끝(먼쪽): 붓돌기 | |||||
∙먼쪽노자관절: 자패임에 노뼈와 관절(중쇠관절) | ||||||
∙중간노자관절: 인대결합(뼈사이막) ∙팔꿉관절: 위팔뼈+노뼈+자뼈로 구성된 복합관절 | ||||||
∙팔꿉관절 폄 시 3개의 돌출부는 일직선 상에 놓이게 된다. | ||||||
Carpal bone | 먼쪽줄 | ∙갈고리뼈 | ∙알머리뼈 | ∙작은마름뼈 | ∙큰마름뼈 | 가쪽(엄지) |
몸쪽줄 | ∙콩알뼈 | ∙세모뼈 | ∙반달뼈 | ∙손배뼈 | 가쪽(엄지) | |
∙손배뼈, 반달뼈, 세모뼈: 노뼈와 손목관절을 형성한다(타원관절) ∙콩알뼈는 세모뼈에 얹혀 있으며, 노뼈와 관절하지 않는다. ∙알머리뼈: 가장 큰 손목뼈, 3번 손가락과 일직선 ∙엄지 손목손허리관절(CMC): 안장관절(굽힘/폄: Concave, 벌림/모음: Convex) ∙손허리뼈 10개(첫째: 큰마름뼈, 둘째: 작은마름뼈, 셋째: 알머리뼈 넷째와 다섯째: 갈고리뼈와 관절, 손가락뼈 28개 |
다리이음뼈 ★ ★ ★ | ||
Hip bone | 구성 | ∙엉덩뼈 + 두덩뼈 + 궁둥뼈(의자에 앉을 때 닿는 뼈: 체중 지지) |
엉덩관절 | ∙볼기뼈절구 + 넙다리뼈머리 | |
폐쇄구멍 | ∙궁둥뼈와 두덩뼈 사이, 폐쇄신경과 혈관이 통과되는 구멍 | |
큰궁둥구멍 | ∙궁둥신경, 위/아래 볼기신경과 동맥이 지나간다. | |
작은궁둥구멍 | ∙음부신경, 내음부 동정맥이 지나간다. | |
궁둥뼈가시 | ∙궁둥뼈가시를 경계로 큰/작은 궁둥패임 위치 | |
Pelvic | ∙볼기뼈 + 엉치뼈 + 꼬리뼈로 구성 ∙앞뒤지름(엉치뼈곶~두덩결합, 짧다) ∙가로지름(가장 긺) |
다리뼈 ★ ★ | ||||||||
Femur | ∙인체에서 가장 길고 단단함 ∙넙다리뼈목은 노인에서 골절이 잘됨 ∙넙다리뼈목: 평균 125°, 보다 작으면 안굽이 넙다리: 밖굽이무릎 ∙넙다리뼈 거친선: 모음근 부착, 볼기근거친면: 큰볼기근 부착 ∙작은돌기: 엉덩허리근 부착 ∙큰돌기: 가쪽돌림근, 중간/작은볼기근 부착 |
|||||||
Patella | ∙삼각형 모양의 납작뼈, 몸에서 가장 큰 종자뼈 | |||||||
Tibia | ∙정강뼈거친면: 무릎인대 부착, 관절융기사이융기: 십자인대 부착, 정강뼈융기골절: 범퍼골절 | |||||||
Fibula | ∙다리의 가쪽에 위치, 먼쪽은 정강뼈의 종아래패임과 관절하며, 가쪽복사뼈 형성 | |||||||
Tarsal bone | Disital | Medial | 1 MT | 2 MT | 3 MT | 4,5 MT | Lateral | |
Cuneiform | Cuneiform | Cuneiform | Cuboid | |||||
Proximal | Navicula | |||||||
Talus | ||||||||
Calcaneus | ||||||||
Calcaneus | ∙직립 시 체중 유지, 아킬레스건의 정지부, 발목뼈 중 가장 큼 | |||||||
Ankle Joint | ∙정강뼈, 종아리뼈, 목말뼈 도르래가 관절, 삠과 어긋남 빈발, 경첩관절 ∙손상: 앞목말종아리인대 > 발꿈치종아리인대 > 뒤목말종아리인대 > 세모인대 |
|||||||
안쪽세로바닥활 | ∙발꿈치뼈 – 목말뼈 – 발배뼈 – 쐐기뼈 – 제1~3발허리뼈 | |||||||
가쪽세로바닥활 | ∙발꿈치뼈 – 입방뼈 – 제4~5발허리뼈 | |||||||
가로발바닥활 | ∙안쪽, 중간, 가쪽쐐기뼈 – 입방뼈 | |||||||
발목뼈 절단 | 리스프랑 | ∙발목뼈 – 발허리뼈 | ||||||
쇼파르 | ∙발배뼈, 입방뼈 – 목말뼈, 발꿈치뼈 | |||||||
피로고프 | ∙발꿈치뼈 뒤쪽절반 – 정강뼈 아래끝 | |||||||
보이드 | ∙발꿈치뼈 – 정강뼈 아래끝 | |||||||
사임 | ∙정강뼈, 종아리뼈 위쪽 0.5cm 절단 |
남녀 성인 골반의 비교 ★ ★ | ||
여성 | 남성 | |
일반적 특징 | ∙출산을 위한 산도로 작용 | ∙강한 근육이 부착하고 무거운 체중을 지탱 |
뼈의 모양 | ∙작고 가벼움, 얇고 부드러움 | ∙크고 무거움, 두껍고 거침 |
작은골반 | ∙넓고 얕고, 용적이 큼 | ∙좁고 깊음, 용적은 작음 |
위골반문 | ∙넓고 타원형 | ∙좁고 심장형 |
아래골반문 | ∙넓음 | ∙좁음 |
엉덩뼈 | ∙넓음 | ∙좁음 |
두덩결합 | ∙짧음 | ∙긺 |
두덩밑각 | ∙큼(80~90°) | ∙작음(50~60°) |
엉치뼈 | ∙넓고 짧고, 덜 구부러짐 | ∙좁고 길고, 많이 구부러짐 |
꼬리뼈 | ∙움직임, 덜 구부러짐 | ∙덜 움직임, 구부러짐 |
폐쇄구멍 | ∙세모형 | ∙타원형 |
반응형
'전국 수석의 국가고시 핵심 정리 > 1교시 물리치료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부생리 part.06 <호흡계통> (0) | 2025.02.15 |
---|---|
해부생리 part.05 <순환계통> (0) | 2025.02.11 |
해부생리 part.04 <근육계통> (0) | 2025.02.10 |
해부생리 part.03 <관절계통> (0) | 2025.02.06 |
해부생리 part.01 <인체의 구분과 조직> (2)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