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수석의 국가고시 핵심 정리/1교시 물리치료 기초

해부생리 part.05 <순환계통>

by 피티구 2025. 2. 11.
반응형
체액과 순환계
체액과 순환계
부종의 원인 ∙혈장교질삼투압(알부민) 감소로 인해 발생:∙혈장삼투압농도감소
∙혈장단백질 감소(콩팥질환등) ∙정맥내혈액저류 ∙나트륨 정체 ∙림프관 차단(폐색)
∙모세혈관 내 액압(정수압) 상승 ∙모세혈관투과도증가
탈수 ∙세포외액의 불균형으로 발생 ∙세포위축, 혈압/체중/심박출량감소, 맥박/체온증가
혈압상승의 요인 ∙항이뇨호르몬 분비 증가 ∙나트륨농도 증가 ∙레닌 분비 증가
∙칼륨 농도 감소 ∙혈관 지름 감소
혈장단백질 교질삼투압과 산=염기의 균형에 관여하는 단백질
∙알부민: 간에서 생산, 교질삼투압을 조절∙섬유소원: 간에서 생산, 혈액응고에 관여
∙글로불린: α,β(간에서 생산,용질수송), γ(형질세포에서 생산, 면역반응 관여)
적혈구 ∙수명: 120일 ∙적색골수에서 혈액세포 생산 ∙파괴장소: 간,지라
∙빌리루빈 ➜ 헤모글로빈의 대사 산물, 간의 간세포에서 생성, 쓸개즙의 색소
∙적혈구 생성 인자: 철, 구리, 엽산, 비타민B12 ∙황달: 혈중 빌리루빈 농도↑
∙적혈구 조혈 인자: 적혈구 생산 촉진, 간이나 콩팥에서 생성
∙척추뼈, 복장뼈, 골반뼈, 갈비뼈, 머리뼈는 평생 적혈구를 생산한다.
백혈구 과립 호중구 ∙가장 많음, 급성염증에 관여, 화학주성으로 탐식능력이 큼
호산구 알레르기, 기생충 감염, 천식 등에 관여, 분홍색, 이물질 해독, 혈전 용해
호염기구 ∙가장 적음, 히스타민, 헤파린 분비(혈액응고 방지, 염증 치유 촉진)
무과립 단핵구 가장 큼, 만성염증에 관여, 큰포식세포로 성숙(간: 쿠퍼세포)
림프구 B림프구(골수에서 유래, 체액성면역, 형질세포생산)
T림프구(골수에서 생성, 가슴샘에서 분화, 세포성면역)
호중구(중성구) > 림프구 > 단핵구 > 호산구(산성구) > 호염기구(염기성구)
형질세포 ∙림프구가 특수하게 분화된 것, 항체를 생성하여 체액에 분비, 체액성 면역을 담당
림프순환 ∙림프액의 순환은 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흐름의 속도가 느리다.
∙림프관 폐색은 혈액 내 체액이 조직으로 이동하여 부종이 발생한다.
면역글로불린 IgA ∙눈, 코, 입안, 기도, 소화관의 점막(분비 가능), 세균 방어
IgD ∙B세포의 표면에 국한, B세포 항원 인식
IgE 알레르기 반응(호염기구와 결합, 히스타민 방출), 기생충 감염
IgG ∙태반과 초유를 통해 운반,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 작용
IgM ∙감염 초기 1차 면역반응, 적혈구 응집에 관여 ∙B림프구 표면에 존재
IgG ➜ IgA ➜ IgM ➜ IgD ➜ IgE

 


뇌척수액
뇌척수액 흐름, Cerebrospinal fluid, CSF  
통로 연결 조직 특징
가쪽뇌실 대뇌반구, 줄무늬체, 후각뇌 ∙가장 큰 뇌실, C모양, 앞뿔/뒤뿔/아래뿔
뇌실사이구멍 몬로공(Monro’s foramen) ∙생산량(흡수량)은 하루 약 500mL
제3뇌실 사이뇌 ∙CSF는 각 뇌실의 맥락얼기에서 생산
중간뇌수도관 덮개, 뒤판, 대뇌섬유다리 ∙실비우스관(Sylvius’s duct)
제4뇌실 소뇌, 다리뇌, 숨뇌 ∙가쪽구멍: 루스카음와, 정중구멍: 마장디공
중심관 척수 ∙거미막밑공간

 


 

동맥과 정맥 순환
동맥 순환








∙rib2
∙T4
팔머리동맥
∙첫번째분지
오른온목동맥 왼쪽과 동일
오른빗장밑동맥 왼쪽과 동일
왼온목동맥
∙두번째분지
속목동맥 ∙MCA, ACA, 목동맥토리, 목동맥팽대
바깥목동맥 ∙뇌, 안구를 제외한 머리 전체, 얼굴동맥, 뒤통수동맥
왼빗장밑동맥
∙세번째분지
겨드랑동맥 위팔동맥 ∙노동맥(깊은)/자동맥(얕은)
척추동맥 뇌바닥동맥 ∙PCA (윌리스서클)(대동맥고리)









복강동맥 왼위동맥 ∙위, 식도
온간동맥 ∙간, 쓸개
지라동맥 ∙지라, 이자
위창자간막동맥 ∙작은창자, 막창자, 오름잘록창자, 가로잘록창자
아래창자간막동맥 ∙내림잘록창자, 구불잘록창자, 곧창자
콩팥동맥 고환동맥 난소동맥
온엉덩동맥 속엉덩동맥 ∙골반안 장기들, 배꼼/방광/자궁 동맥
바깥엉덩동맥 넙다리동맥 오금동맥 정강동맥

 

정맥 순환
경질막정맥굴
위시상정맥굴: 거미막과립 함유(뇌척수액 흡수)
속목정맥 팔머리정맥
∙정맥각
∙림프관 유입부
(속목정맥-빗장밑정맥의 결합부)
위대정맥 오른심방
이끌정맥
∙마루뼈구멍 통과
홑정맥
∙아래대정맥의 곁순환로
∙홑정맥(오른쪽), 반홑정맥(왼쪽)
노정맥 위팔정맥 겨드랑정맥 빗장밑정맥
자정맥
피부정맥
팔오금중간정맥
∙채혈/정맥주사
문맥 구성 혈관
∙지라정맥
∙위창자간막정맥
∙아래창자간막정맥
∙위정맥
문맥
∙장관경유(영양분多)
모세혈관 두번 거침
∙수용성 영양분 이동
간정맥 ∙온엉덩정맥
∙가장 큰 정맥
∙오른쪽 주행
아래대정맥
∙모서리정맥
∙발등정맥활
작은두렁정맥
⤷종아리 뒤쪽
⤷오금정맥과 합쳐짐
큰두렁정맥
⤷관통정맥통과
넙다리정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