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화계통, 입안-위
소화계통 | ||||||
소화관 | ∙입안, 인두, 식도, 위, 작은창자, 큰창자, 항문 ∙부속기관: 치아, 혀, 침샘, 간, 쓸개, 이자 ∙조절중추: 시상하부 ∙기전: 가수분해 |
|||||
입안 | ∙소화의 첫 관문, 음식물 씹기, 미각과 발성 담당 ∙소화효소: 침샘의 아밀레이스(탄수화물 분해효소) | |||||
치아 | ∙간니(영구치): 32개, 젖니: 20개, 생후 1년 아이 치아: 8개 ∙사기질: 치아에서 가장 단단함 (사기질 > 상아질 > 시멘트질) ∙치아의 주성분: 상아질 ∙셋째 큰어금니: 가장 늦게 나옴(사랑니) |
|||||
혀 ★ ★ |
맛봉오리 | ∙감지기관 | 성곽유두 | ∙분계고랑 하단, 맛봉오리多 | ||
버섯유두 | ∙혀등쪽 분포 | 잎새유두 | ∙혀가쪽, 유아시 발달, 성인 감소 | |||
실유두 | ∙혀몸통부, 가장 많음(하얀색), 맛봉오리無 | |||||
∙신경지배: 혀밑신경(운동), 얼굴신경(앞2/3미각), 혀인두신경(뒤1/3미각), 삼차신경, 미주신경 | ||||||
인두 | ∙약 12cm, C6높이에 위치 ∙목구멍, 공기와 음식의 공동통로 ∙코인두, 입인두, 후두인두로 구성되며, 코안, 입안 후두, 식도와 연결됨 ∙후두덮개: 음식물이 기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 ∙삼키기조절중추: 숨뇌 |
|||||
식도 | ∙약 25cm, 중층편평상피로 구성 ∙기관의 뒤쪽에 위치(기관-식도-대동맥-척추) ∙장막無 ∙위: 가로무늬근, 중간: 가로무늬근+민무늬근, 뒤: 민무늬근 ∙위의 들문과 연결(식도구멍) ∙식도의 잘록부위: 첫째(반지연골뒤), 둘째(기관분기부), 셋째(가로막 통과 부위) |
|||||
위 | ∙J자 모양, 정중선에서 3/4이 왼쪽에 위치, 가로막의 왼아래쪽에 위치 ∙꿈틀운동 ➜ 식도에서 작은창자에 이르기까지 위장관의 공통운동 |
|||||
위운동 | ∙공복수축, 꿈틀운동, 구토 | |||||
위벽 | ∙점막층(안쪽)(방어,흡수,분비,위바닥샘,들문샘,날문샘)➜점막밑층(혈관,신경,림프관분포)➜근육층(들문과 날문의 조임근)➜장막층(바깥쪽) | |||||
구조 | ∙들문(식도와 연결) ➜ 위바닥 ➜ 위몸통(큰굽이,작은굽이) ➜ 날문(샘창자와 연결) ※모패임: 염증 호발부위(위궤양) |
위 분비세포와 기능
관상선(위선)을 구성하는 세포와 분비물 ★ ★ ★ | |||
분비세포 | 분비물질 | 분비 자극인자 | 주요기능 |
점액경부(목)세포 | 점액 | 점막에 대한 자극 | 내강-상피 사이 물리적 차단벽 |
중탄산염 | 점액과 동반분비 | 위산 중화-상피세포 손상 방지 | |
벽세포 (Parietal cell) |
위산(HCl) | 아세틸콜린(Ach) 가스트린 히스타민 |
펩시노겐을 펩신으로 활성화,살균작용 |
내인성인자 | 비타민 운반 및 흡수를 도움 B12흡수➜적혈구 생성 시 필요 |
||
ECL cell (은친화세포) |
히스타민 세로토닌 |
Ach,가스트린 | 위산분비 촉진 |
으뜸세포 (주세포) (Chief cell) |
펩시노겐 | 아세틸콜린 산 세크레틴 |
염산에 의해 펩신으로 변환 ⤷단백질 소화 시작 |
위 리파아제 | 지질 소화(위에서 작용 거의 無) | ||
D-cell | 소마토스타틴 | 위산 | 위산과 위운동 억제 |
G-cell | 가스트린 | 아세틸콜린 펩티드와 아미노산 |
위산과 소화효소 분비 촉진 |
소화계통, 창자
소화계통 ★ ★ ★ | |||||||||
작은창자 | 특징 | ∙6~7m, 단층원주상피 ∙융모발달(단층원주상피, 샘창자, 빈창자) ∙돌림주름, 림프소절 ∙꿈틀운동, 분절운동, 흔들운동(진자운동), 융모운동 |
|||||||
샘창자 | ∙C자형, L1-L3 오른쪽에 위치, 윗부분, 내림부분, 아랫부분, 오름부분으로 구성 | ||||||||
큰샘창자유두 ∙내림부분 |
∙쓸개의 온쓸개관과 이자의 이자관 연결, 쓸개즙과 이자액 유입 및 혼합 장소, 오디조임근(개폐조절, 쓸개즙 분비조절) | ||||||||
작은샘창자유두 | ∙내림부분, 덧이자관과 연결 | ||||||||
빈창자 | ∙왼쪽 윗부분에 위치, 홑림프소절이 발달, 돌림주름 발달 ∙융모가 잘 발달되고 소화된 영양소 대부분을 흡수(혈관 풍부) |
||||||||
돌창자 | ∙소화계통 중 길이가 가장 긺 ∙오른쪽 아래부분에 위치 ∙페이어반(무리림프소절, Peyer’s patches)발달(염증 시 장티푸스 유발) ∙막창자와 경계부위에 돌막창자판막이 있음(큰장자의 내용물 역류 방지) |
||||||||
창자액 | ∙브루너샘(샘창자에 있음, 알칼리성 액체), 리베르쿤샘(전체) ∙단백질 분해효소: 펩티다아제(트리/다이펩티드➜아미노산) ∙탄수화물 분해효소: 말타아제, 락타아제, 수크라제 ∙엔테로키나이제: 트립시노겐을 트립신으로 활성화 ∙세크레틴: 샘창자에서 분비, 이자액 분비 촉진 ∙콜레시스토키닌: 샘창자에서 분비, 이자액과 쓸개즙 분비 촉진(쓸개 수축) |
||||||||
흡수 | ∙간문맥: 단당류, 아미노산, 수용성 비타민, 무기염류를 흡수 ∙융모림프관: 지방산(크기가 커서 암죽관을 거침), 글리세롤, 지용성 비타민을 흡수 |
||||||||
큰창자 | 특징 | ∙강알칼리성 창자액 분비: 소화작용이 없음(융모 없음) ∙집단운동(배변), 분절운동, 꿈틀운동 ∙잘록창자띠, 잘록창자팽대, 복막주렁(지방덩어리), 반달주름, 술잔세포 발달 ∙수분흡수, 대변형성, 비타민K합성 |
|||||||
막창자 | ∙막창자꼬리: 림프소절, 세균보호 ∙맥버니점: 막창자꼬리염의 압통점(배꼽과 오른쪽ASIS를 연결하는 가상선의 외측1/3) |
||||||||
잘록창자 | ∙오름잘록창자➜가로잘록창자➜내림잘록창자➜구불잘록창자 ∙구조물: 잘록창자띠, 잘록창자팽대, 복막주렁, 반달주름 ∙술잔세포 분포 |
||||||||
곧창자 | ∙치대: 치질 호발부위 ∙항문관: 속항문조임근(민무늬/불수의근), 바깥항문조임근(가로무늬/수의근) |
||||||||
소화계통 순서 | |||||||||
입안 | 인두 | 식도 | 위 | 작은창자 | 큰창자 | 항문 | |||
들문➜위바닥➜위몸통➜날문 | 샘창자➜빈창자➜돌창자 | 막창자➜잘록창자➜곧창자 |
소화계통, 간
소화계통: 간 ★ ★ | |
간 | ∙인체에서 가장 큰 분비샘, 가장 큰 장기, 재생능력이 강함 ∙낫인대에 의해 왼간엽과 오른간엽으로 구분 ∙오른간엽, 왼간엽, 네모엽, 꼬리엽으로 구성(4개엽) ∙간소엽: 간의 기능적 단위, 육각형 모양, 중심정맥이 있음 ∙쿠퍼세포: 포식작용(식균작용) ∙알부민: 간에서 합성, 혈관과 조직 사이 삼투압 유지 ∙간의 인대: 낫인대, 간원인대(배꼽정맥 퇴화로 발생), 세모인대, 관상인대 ∙기능혈관: 간문맥, 중심정맥 ∙영양혈관: 고유간동맥 ∙간문맥을 거치는 영양분: 포도당, 아미노산, 수용성비타민, 무기염류 |
간의 기능 | ∙당대사: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저장 또는 분해 ∙단백질대사: 암모니아로부터 합성 요소 ∙요소: 단백질 최종산물(오르니틴 회로를 통해 암모니아➜요소 생성) ∙지질대사, 쓸개즙 생산, 섬유소원, 프로트롬빈, 헤파린 등 생산 ∙방어 및 해독작용, 혈액량 조절(적혈구 파괴), 철분 및 비타민 저장 |
소화계통, 쓸개(담낭)
소화계통: 쓸개(담낭) ★ ★ ★ | |
쓸개 |
∙서양배 모양, 오른간엽과 네모엽 사이 위치(오른엽 아래면) ∙쓸개즙 농축 및 저장 ∙온쓸개관에 의해 샘창자에 개구 ∙쓸개즙염, 쓸개즙색소, 콜레스테롤, 무기염류로 구성 ∙쓸개즙염: 지방유화, 큰지방을 작은 지방으로 분해 ∙쓸개즙색소: 빌리루빈, 혈색소가 파괴되어 생성, 황달 ∙콜레시스토키닌: 쓸개즙 분비촉진 호르몬 |
쓸개즙분비 | ∙간세포 ➜ 모세관 ➜ 간관 ➜ 쓸개 ➜ 온쓸개관 ➜ 샘창자유두 ∙간에서 생성, 쓸개에서 농축, 샘창자 배출 |
쓸개즙 기능 | ∙지방유화, 지용성 비타민(Fe,Ca) 흡수 촉진, 장관내 음식물부패방지, 대변 색 형성 ∙쓸개즙색소, 호르몬, 독소, 약물 등의 배설작용(담즙 배출) |
소화계통, 이자(췌장)
소화계통 이자(췌장) ★ ★ ★ | |||
이자 | ∙내/외분비샘을 겸한 소화샘 ∙L1-L2 높이, 샘창자 옆 C자 모양 ∙연노랑의 소엽샘 | ||
외분비샘 | ∙이자액 분비 ∙소화액분비: 3대 영상소의 소화효소 분비 ∙(키모)트립신: 폴리펩티드를 트리다이펩티드로 분해 (단백질 소화) ∙아밀라아제: 탄수화물을 이당류로 분해 ∙리파아제: 작은 지방을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 |
||
내분비샘 | ∙호르몬분비: 이자섬(랑게르한스섬): 인슐린, 글루카곤, 소마토스타틴 분비 | ||
Acell(α세포) | 글루카곤 | ∙혈당 상승 호르몬 (인슐린과 길항 작용) | |
Bcell(β세포) | 인슐린 | ∙혈당 감소 호르몬 (결핍 시 당뇨) | |
Ccell(γ세포) | 소마토스타틴 | ∙글루카곤, 인슐린, 가스트린, 레닌 분비 억제 호르몬 |
반응형
'전국 수석의 국가고시 핵심 정리 > 1교시 물리치료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부생리 part.08 <비뇨/내분비계통> (0) | 2025.04.26 |
---|---|
해부생리 part.06 <호흡계통> (0) | 2025.02.15 |
해부생리 part.05 <순환계통> (0) | 2025.02.11 |
해부생리 part.04 <근육계통> (0) | 2025.02.10 |
해부생리 part.03 <관절계통>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