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수석의 국가고시 핵심 정리/1교시 물리치료 기초

해부생리 part.08 <비뇨/내분비계통>

by 피티구 2025. 4. 26.
반응형
생식계통과 림프계통은 범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비뇨계통
신경해부생리학
비뇨계통: 콩팥(신장)
 
 
 
콩팥
∙배막뒤 기관, T11~L3 사이 위치, 약 10cm, 오른쪽이 왼쪽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
∙콩팥은 안정 상태에서 심장박출량 중 25%의 혈액을 받아들이며,.1일 180L 여과,  약  1.5L (약 1%)를 소변으로 배출한다.
∙콩팥은 척추쪽을 향해 오목하게 파여있는 부분이 있는데 이곳을 콩팥문(신문)이라고 부르며, 콩팥문을 통해 콩팥 동맥/정맥과 요관이 드나든다.
∙콩팥은 겉질과 속질로 나뉘며, 속질은 더 어두운 흑갈색을 띄며 줄무늬 모양을 가지
고, 원뿔모양의 콩팥피라미드로 구성된다.
 
 
 
 
콩팥의 기능
소변의 생성과 배설 ∙혈장으로부터 노폐물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대사물질 제거(NH4 등)
혈액과 혈압의 조절 ∙소변량을 통해 혈장 농도를 조절하여 총혈액량과 혈압을 조절
∙pH 조절(산-염기 평형 조절)
 
호르몬 분비
∙혈압 저하 시 염분과 수분 조절에 필요한 호르몬인 안지오텐신Ⅱ 생성에 필요한 레닌을 분비한다. (토리곁세로에서 생산)
∙골수에서 적혈구 생성을 자극하는 에리트포이에틴을 분비한다.
∙혈중 칼슘과 인의 수준을 조절하는 칼시페롤을 분비한다.
 
 
 
 
콩팥의 구조
콩판겉질 ∙콩팥소체, 토리쪽 및 먼쪽곱슬세관
콩팥속질 ∙콩팥세관고리(헨리고리), 집합세관 ∙삼각형 모양의 콩팥피라밋
콩팥기둥 ∙콩팥피라미드 사이의 속질 아래쪽에 위치
콩팥유두 ∙피라미드의 좁고 가장 깊숙한 곳
 
콩팥깔때기
∙콩팥굴 속에 있는 주머니(2~3깨의 큰콩팥잔이 합해진 것)로 요관과 연결
∙작은콩팥잔(콩팥피라밋에서 형성된 소변을 받는 부분)
∙큰콩팥잔(여러 개의 작은 콩팥잔이 합해진 것)으로 구성
콩팥(술)잔 ∙콩팥깔때기로부터 나뉨, 콩팥유두에서 소변을 수집해 깔때기로 모이게 
콩팥단위
∙네프론
∙콩팥의 구조적 기능적 최소단위로, 콩팥소체, 콩팥세관으로 구성된다.
소변을 생산(여과/농축)하고 운반한다. ∙발세포: 토리주머니 속막의 돌기가 많은 세포
∙콩팥소체 ➜ 토리쪽곱슬세관 ➜ 콩팥세관고리 ➜ 먼쪽곱슬세관 ➜ 집합세관
콩팥소체 토리, 토리주머니 (발세포와 여과틈새 有 )로 구성 ∙혈액을 여과하는 “토리여과” 장소.
 
콩팥세관
∙요세관
∙여과액을 변형시켜 오줌을 만든다.
∙토리쪽세관, 콩팥세관고리, 먼쪽곱슬세관, 집합세관으로 구성
∙토리쪽세관을 곱슬세관과 바른세관으로 나뉘고, 콩팥세관고리는 3가지 다리로 구성
토리쪽곱슬세관 입방상피세포여과된 물질을 능동적으로 재흡수
콩팥세관고리 헨리고리, ‘U’자 모양, 내립가지와 오름가지로 구성, 소변을 농축
 
토리곁장치
∙먼쪽곱슬세관의 시작부분으로 들토리세동맥, 날토리세동맥이 접하는 부위
∙치밀반점과 과립세포로 구성되며, 혈액량과 혈압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토리곁세포 ∙들토리세동맥 벽의 특수 세포, 혈압 저하 시 레닌을 분비 (분비과립 多 )
치밀반(점) ∙콩판세관의 벽세포, Na+ 농도 변화 감지

 

신경해부생리학
토리 여과 (사구체 여과)
콩팥소체는 혈액이 여과되어 여과액을 만드는 장 소로, 요세관 끝에 연결된 공 모양의 혈관 그물인 “토리”와 토리를 감싸는 “토리주머니”로 구성된다.
∙들세동맥을 통해 토리로 들어온 혈액은 압력에  의해 토리의 3층으로 구성된  여과막(모세혈관내 피, 기저막, 발세포층)을 통과하여 토리주머니로 이동하는데, 이것을 “토리 여과”라고 한다.
∙이 과정에서 혈구와 단백질을 제외한, 수분/요 소/요산/크레아티닌/전해질 등이 여과되어 여 과액(원뇨)이 만들어진다.
∙이때 토리여과를 발생시키는데  관여하는  압력 을 “스탈링의 힘”이라고 한다.
스탈링의 힘 (토리여과압)
토리모세혈관정수압 ∙여과를 촉진하는 힘, 높을수록 토리주머니로 여과되는 힘이 증가된다.
토리주머니삼투압 ∙여과를 촉진하는 힘, 높을수록 토리모세혈관으로 수분이 이동해 압력이 증가
토리주머니정수압 ∙여과를 방해하는 힘, 높을수록 토리에서 토리주머니로 이동하는 혈액을 밀어냄
토리삼투압 ∙여과를 방해하는 힘, 높을수록 토리주머니로 수분이 이동해 압력이 증가
콩팥세관 재흡수 ∙콩팥세관 ➜ 사이질액 ➜ 혈액(모세혈관)
 
 
토리쪽곱슬세관
재흡수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곳
∙토리쪽세관에서의 재흡수는 호르몬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강제적 재흡수(여과)이며, 여과 액을 대량으로 흡수하여 신체의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막는 대량흡수기 역할을 한다.
∙특히 수분과 욜질을 한 쌍으로 재흡수하기 때문에, 여과액을 일정한 농도를 유지한다.
포도당, 아미노산 100% 재흡수 ∙물, 요산, Na+, Cl-, K+ 등은 대부분 재흡수
∙콩팥문턱: 포도당이 재흡수되고 남은 것은 소변으로 배출
 
헨레고리 먼쪽곱슬세관 집합(세)관
∙신체의 요구에 따라 재흡수 ∙호르몬 수용체를 가져 호르몬에 의해 재흡수 조절
콩팥세관고리 ∙헨레고리, U자형 구조 ∙내림다리(물 흡수), 오름다리(용질 흡수)
알도스테론 Na+ 재흡수 (먼쪽곱슬세관) ∙부신겉질에서 분비
∙먼쪽곱슬세관에서 칼륨 재분비 촉진
바소프레신
∙항이뇨호르몬
∙소변 억제 ∙뇌하수체 뒤엽에서 분비 ∙요붕증
∙물 재흡수 (집합관)
콩팥세관 분비 ∙혈액(모세혈관) ➜ 세관주위액 ➜ 콩팥세관
∙수소이온, 칼륨이온은 능동운반에 의해 분비 ∙암모니아는 확산에 의해 분비

 

신경해부생리학
콩팥의 구조와 재흡수  요약
 
 
 
 
 
 
혈관
콩팥단위
콩팥소체 콩팥세관
토리+토리주머니 토리쪽곱슬세관 콩팥세관고리 먼쪽곱슬세관 집합세관
콩팥겉질 콩팥겉질 콩팥속질 콩팥겉질 속질
 
 
 
 
∙토리 여과 장소
재흡수 가장 활발
⤷요산, 무기물 등
포도당, 아미노산
⤷100% 재흡수
물/CL- 흡수
⤷ 삼투압 차에 의한
강제적 재흡수
∙헨레고리
∙U자형 구조
∙호르몬 작용 흡수
∙내림다리
-바소프레신: 수분
∙오름다리
-Na, Cl, K, Ca, Mg
-알도스테론: Na
 
알도스테론
⤷Na+재흡수
⤷K+재분비
항이뇨호르몬
촉진성재흡수
 
 
 
Na+ 흡수
혈압 조절: 레닌-앤지오텐신-알도스테론 기전
1 단계 ∙혈압이 떨어지면 콩팥에서 혈류에 레닌 효소를 방출한다.
2 단계 ∙레닌은 앤지오텐시노겐이라는 혈류에서 순환하는 큰 덩어리의 단백질을 작은 조각으로
쪼갠다. 이렇게 쪼개진 작은 조각이 앤지오텐신Ⅰ이다.
3 단계 ∙앤지오텐신Ⅰ은 상대적으로 비활성이며 앤지오텐신 전환효소(ACE)에 의해 더 작은 조
각으로 쪼개진다. 이 조각이 앤지오텐신Ⅱ 호르몬으로, 매우 활동적이다.
 
4 단계
∙앤지오텐신Ⅱ는 세동맥의 근육벽이 수축하여 혈압이 올라가도록 만든다.
∙앤지오텐신Ⅱ는 또한 부신(콩팥위샘)에서 알도스테론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고, 뇌하수
체에서 바소프레신(항이뇨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한다.
 
5 단계
∙알도스테론 및 바소프레신은 콩팥에서 나트륨을 계속 보유하게  만들며,  알도스테론은 또한 신장에서 칼륨이 배설되도록 만든다. 나트륨량이 늘어남에 따라 수분을 계속 
유하게 만들어 혈액량 및 혈압이 증가한다.
비뇨계통: 요관/방관/요도
요관 ∙콩팥깔때기와 방광을 연결 ∙배막뒤기관 ∙점막: 이행상피
방광 ∙오줌을 저장하는 공간 ∙점막:이행상피 ∙아랫배신경얼기 신경지배
요도 남성 ∙막성부: 비뇨생식막 통과부, 카테터 삽입 시 주의
여성 ∙골반안 장기 순서: 방광(앞) ➜ 자궁 ➜ 곧창자 ➜ 엉치뼈
조임근 ∙방광조임근: 민무늬근 ∙요도조임근: 가로무늬근

 

 

 


 

 

내분비계통
내분비계통
호르몬
기능
∙발육과 성장을 조절 ∙생식기, 뼈대 등의 발달 조절 ∙신진대사 조절
∙과잉 또는 부족 시 인체에 병적 증상 초래 ∙인체의 내부환경 유지 및 조절(항상성)
혈당 증가 ∙코티졸, 티록신, 아드레날린, 글루카곤
내분비계통: 솔방울샘과 가슴샘
솔방울샘 ∙제3 뇌실 뒤쪽에 위치 ∙멜라토닌 분비: 생식샘 발육 촉진, 생체리듬 조절
가슴샘 ∙대동맥활 앞, 복장뼈 뒤, 가슴세로칸에 위치 ∙사춘기에 최대, 이후 퇴화 (소아 면역에 중요)
∙티모신 분비 ➜ 미분화된 림프구를 T림프구로 활성화 ∙인체 내 가장 큰 샘
내분비계통: 태반
사람융모생식샘자극호르몬 (HCG)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여 임신을 유지
∙임신 초기 소변으로 배출: 임신 진단 ∙프로게스테론: 임신 유지
내분비계통: 뇌하수체 호르몬
 
앞엽
성장호르몬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및 전해질 대사 촉진 ∙뼈의 성장에 관여
∙과잉: 거인증(성장기), 말단비대증(성인) ∙결핍: 난장이(성장기)
젖샘자극호르몬 ∙프로락틴 ∙젖샘에 작용하여 젖의 생산과 분비를 촉진
황체형성호르몬 ∙여성의 배란, 에스트로겐 분비, 남성의 테스토스테론 분비 촉진
중간엽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 ∙멜라닌세포에 작용하여 멜라닌 형성을 촉진
 
뒤엽
항이뇨호르몬
∙바소프레신
∙세동맥의 민무늬근육을 수축시켜 혈압 상승
∙콩팥의 집합세관에서 수분 재흡수 촉진 ∙결핍: 요붕증
옥시토신 ∙자궁근육 수축 및 젖 배출 촉진 ∙프로게스테론과 길항작용
내분비계통: 갑상샘 호르몬
∙후두연골 아래와 기관의 방패연골 바로 앞에 위치한 1쌍의 내분비기관, 갑상샘자극호르몬의 영향으로 분비
 
티록신
∙신체의 모든 세포에 신진대사 촉진 (당질, 지방, 단백질, 비타민, 물과 무기질)
∙발육, 성장에 관여 ∙심장수축력 증가, 체온상승, 적혈구 생성 촉진, 교감신경 자극
∙과잉: 바세도우씨병(안구돌출, 체중감소) ∙결핍: 크레아틴병(발육지연, 소아), 점액수종(체중증가)
칼시토닌 ∙뇌하수체의 지배를 받지 않음 ∙갑상샘의 소포곁세포(C세포)에서 분비
뼈파괴세포의 활동을 억제 (칼슘 유리 억제) ∙혈액 내 칼슘 농도가 너무 높을 때 분비
내분비계통: 부갑상샘 호르몬
∙갑상샘 뒷면의 네 모서리에 붙어 있는 내분비기관 ∙혈중 칼슘 농도가 너무 낮을 때 분비(칼슘 유리↑)
파라토르몬(PTH) ∙칼슘  및  인  대사에  관여  ∙뼈조직  내  칼슘을  세포외액으로  유리,  콩팥에서 칼슘의
재흡수  촉진,  창자에서  칼슘과  인 흡수 촉진,  비타민 활성화 (칼시토닌과 길항작용)
PTH↑ ∙고칼슘혈증, 뼈엉성증, 콜팥결석 PTH↓ ∙저칼슘혈증, 근육경련, 테타니(강축)
내분비계통: 부신겉질 호르몬
∙토리층: 미네랄코르티코이드 분비 ∙다발층: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분비 ∙그물층: 안드로겐 분비
미네랄코르티코이드
∙염류겉질호르몬
알도스테론 분비: Na+ 재흡수 촉진, Cl- 재흡수 촉진, K+분비 촉진
∙과잉: 부종, 콘(Con) 증후군 ∙과소: 혈액량 및 심박출량 감소 ➜ 혈압 저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코티졸(90%), 코르티코스테론, 코르티손 분비 ∙지방과 단백질을 당질로 전환
∙코티졸↑: 쿠싱증후군 ∙코티졸↓: 에디슨병
안드로겐 ∙남성호르몬: 2차 성징, 성욕 증진
내분비계통: 부신속질 호르몬
∙교감신경 흥분에 의해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 분비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 분해 ➜ 혈당 증가
에피네프린 ∙심장수축력과 심박동 증가, 콩팥과 피부 등의 세동맥 수축, 동공 확대, 혈중 포도당 상승
노르에피네프린 ∙인체의 세동맥을 증가시켜 말초혈관 저항 증가, 즉 혈압 상승
내분비계통: 이자: 랑게르한스섬(내분비샘)
알파세포 글루카곤 분비 ∙간세포에서 글리코겐 분해 촉진 ➜ 혈액 내 포도당 농도 상승(혈당 상승)
∙콜레시스토키닌(CCK)과 가스트린: 글루카곤 분비 촉진, 세크레틴: 억제
베타세포 인슐린 분비 ∙표적기관: 뼈대근육, 지방조직, 간 ∙결핍 시 당뇨
델타세포 소마토스타틴 분비 ➜ 인슐린과 글루카곤 분비 억제
스테로이드 호르몬
∙안드로겐,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코르티코이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