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근육계 해부
근육의 유형 ★ ★ ★ | |||
뼈대근육 | 심장근육 | 민무늬근육 | |
위치 | ∙뼈대계통 | ∙심장 | ∙내장, 혈관벽 |
현미경적 구조 | ∙가로무늬 | ∙가로무늬 | ∙민무늬 |
신경분포 | ∙몸신경(수의근) | ∙자율신경(불수의근) | ∙자율신경(불수의근) |
핵 | ∙다핵 세포 | ∙단핵 세포 | ∙단핵 세포 |
칼슘공급 | ∙근육세포질그물 | ∙근육세포질그물, 세포외액 | ∙세포외액 |
결합조직 | ∙근육속막, 다발막, 바깥막 | ∙근육속막 | ∙근육속막 |
특징 | ∙쉽게 피로 | ∙틈새이음, 사이원반有 | ∙수축이 느리고 완만 ∙근육원섬유마디無 |
근육의 기능 | |
운동성 | ∙몸을 움직이거나 이동, 혈액순환, 호흡운동, 소화운동, 배뇨 |
안정성 | ∙관절을 안정화시키고, 뼈와 힘줄에서 긴장을 유지하여 자세를 유지시킴 |
열 생산 | ∙몸에서 생산하는 열의 약 85%를 생산 |
혈당조절 | ∙가지고 있는 포도당을 이용하여 혈액의 농도를 안정화시킴 |
근육의 일반적 특성 | |
흥분성 | ∙화학적 신호, 신장 등에 자극되면 전기적, 역학적 반응을 일으킴 |
전도성 | ∙흥분성은 근육세포를 자극하고, 원형질막을 통해 전도 |
수축성 | ∙자극에 의해 근육섬유는 짧아져 뼈나 기타 기관에 운동을 생성 |
신장성 | ∙손상 없이 세 배 이상 신장 |
탄력성 | ∙신장 후 긴장이 소실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귀 |
뼈대근육의 일반적 구조 ★ ★ ★ | |
근육막 | ∙근육속막 – 근육다발막 – 근육바깥막 |
근막 | ∙근육 전체 및 기타 피부밑조직을 분리하는 얇은 막 ∙관절주머니, 뼈막 등을 형성 |
근육세포질그물 | ∙근육세포의 소포체, Ca+2저장 및 공급 |
가로세관 | ∙근육세포질그물에 전기신호를 전달해 저장된 칼슘을 방출시킴, 근섬유에 수직 |
종말수조 | ∙가로세관(T세관)에 인접한 근육세포질그물의 연장된 끝 |
근육섬유의 종류 ★ ★ | ||
적색근육 | 백색근육 | |
구성 | ∙느린산화/해당섬유(TypeⅠfiber) | ∙빠른해당섬유(TypeⅡfiber) |
모세혈관 밀도 | ∙높음: 혈색소 혈액공급 풍부 | ∙낮음: 혈색소, 혈액공급 적음 |
에너지 시스템 | ∙ATP 재생 빠름(사립체 다량, 유산소 시스템) | ∙ATP 재생 느림(사립체소량, 무산소 시스템) |
직경/연축률 | ∙직경은 작고 연축률 느림 | ∙직경은 크고 연축률 빠름 |
기능 | ∙자세조절 관여, 긴 잠복기, 느리게 반응 ∙장시간 수축, 지속적 수축 ∙흥분성이 높고, 수축강도가 낮음 |
∙민첩한 운동 관여, 짧은 자극간격 반응 ∙단시간 수축 ∙흥분성이 낮고, 수축강도가 큼 |
예 | ∙심층부, 자세유지근육 | ∙체표면에 가까운 곳 |
뼈대근육 미세 구조
뼈대근육의 미세구조 ★ ★ ★ | ||||
![]() |
||||
근육미세섬유 | 굵은 섬유 | ∙마이오신 | 가는섬유 | ∙액틴, 트로포마이오신, 트로포닌 |
근육원섬유 | 근육원섬유마디 | ∙근 수축의 기본단위 ∙Zline과 Zline 사이 | ||
근원섬유 | A-band | ∙굵은미세섬유와 가는 미세섬유가 중첩되어 어둡게 보이는 부분 | ||
I-band | ∙가는 근육미세섬유만으로 구성된 좁고 밝은 부분 | |||
H-zone | ∙A띠의 중앙부에 약간 밝은 부분, 액틴과 미오신이 겹치지 않는 곳 | |||
Z-line | ∙I띠의 중앙선, 약간 밝은 부분 | |||
M-line | ∙H띠 중앙선, 막모양의 어두운 부분(미오신이 부푼 곳) | |||
수축시 변화 | ∙Aband: 변화 없음 | |||
∙Hzone, Iband, Z-Zline(근육원섬유마디): 짧아짐 |
신경근 수축 기전
신경근 접합부 신호전달 기전 |
1. 시냅스종판에 활동전압이 도달하면 칼슘이온(Ca2+)통로가 열리고 시냅스전종판의 Ca2+의 투과성 증가 2. Ca2은 시냅스종판의 시냅스 소포에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을 방출시ㅋ다. 3. 시냅스 간격으로 확산된 Ach.는 시냅스 후 근섬유막의 Ach.수용기와 결합한 후 Na+의 투과성을 증가시킴 4. Na+투과성의 증가는 시냅스후막에 탈분극을 일으키고 시냅스후막의 활동전압이 나타나게 한다. 5. Ach.이 시냅스 간격으로 방출되면 시냅스후막의 Ach. 수용기와 결합하고 Na+의 통로가 열린다. 6. Ach.이 시냅스 간격에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에 의해 빠르게 콜린과 아세트산으로 분해된다. 7. 콜린은 시냅스 전종판에서 재흡수되어 아세트산과 결합하여 아세트콜린으로 재합성된다. |
근수축 기전 |
2-3. 운동신경이 근육섬유를 자극하여 흥분된다(신경근 접합부 기전) ⤷시냅스 소포에서 운동신경말단의 종말판으로 아세틸콜린 방출되어 근세포막의 탈분극 발생 ⤷Na+이 세포 내로 이동하여 활동전위 발생 4. 활동전위가 가로세관(T세관)을 통해 근육세포질그물로 전달되어 Ca2+가 방출된다. 5. Ca2+이 가는근육미세섬유의 트로포닌과 결합하여 트로포미오신을 이동시켜, 액틴의 결합부위가 노출시킨다(평소에는 액틴 필라멘트의 결합부위를 트로포미오신이 가리고 있음)(트로포닌T가 결합) 6. 굵은미세섬유의 머리(마이오신헤드)가 ATP를 분해하여 생기는 에너지를 이용해, 가는미세섬유(액틴 필라멘트)와 결합한다(교차다리: 가교 형성) 7. ADP와 인산이 방출되면서 가는미세섬유(필라멘트)가 활주(수축)을 하게 된다. |
근수축을 이루는 마이오신-액틴의 상호작용 (근수축 기전) |
1. 마이오신의 머리가 ATP와 결합되어 있고 낮은 에너지 구조를 하고 있다. 2. 마이오신의 머리가 ATP를 ADP와 무기인산(P)으로 가수분해하고 높은 에너지 구조를 하고 있다. 3. 마이오신 머리가 액틴과 결합하여 가교를 형성한다. 4. ADP와 인산(P)이 방출되면서 마이오신은 낮은 에너지 구조가 되고 낮은 에너지 구조가가 되고 이에 따라 가는 필라멘트가 활주하게 된다. 5. 새로운 ATP 분자와 결합하면서 마이오신의 머리가 액틴으로부터 떨어져나가고 새로운 순환이 시작된다. |
근이완 과정 |
1. 트로포마이오신이 원위치로 이동하면서 교차다리가 분리된다. 2. 세포질 내 Ca2+가 근육세포질그물로 회수된다. 3. Ca2+ 폄프가 작동하여 근세포막과 가로세관의 재분극이 일어난다. 4. 아세틸콜린이 분해된다. |
수축 형태
수축 형태에 따른 분류 | |
단일수축 ∙연축, twitch |
∙근육 또는 신경에 문턱값 이상의 단일자극을 가핼 때 1회의 빠른 수축과 이완과정이 일어나는 현상 |
강축 | ∙일정시간 동안 같은 자극을 반복하여 단일수축이 합쳐져 단일수축보다 큰 힘과 지속적인 수축이 일어나는 현상 |
긴장 | ∙근육이 부분적으로 수축을 지속하는 형태 |
강직 | ∙활동전위가 유발되지 않는 강축, 비가역적 수축 ∙속도 의존적(경축X) |
마비 | ∙중추신경계와 운동신경계의 손상으로 흥분전달이 차단되고, 수의적으로 근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현상 |
위축 | ∙마비 후 시간이 지남에 따른 근육의 낮은 수축력 |
비대 | ∙과도한 운동으로 근육의 부피가 커지고 수축력이 강해진 경우 |
가성비대 | ∙근육이 약해지고 경축이 일어나 근육 사이에 지방조직이나 섬유조직과 같은 침착물이 쌓이는 것 |
국가고시 중요 근육
얼굴표정 근육∙얼굴신경 지배 ★ ★ ★ | ||||||
입을 엶 | 큰/작은광대근 | 입꼬리내림근 | 입꼬리당김근 | 위입술올림근 | ||
∙입꼬리 올려 웃음 | ∙슬픈 표정 | ∙싱긋웃음(보조개) | ∙비웃음 | |||
입을 닫음 | 입둘레근 | 볼근 | ||||
∙입을 오므림(휘파람) | ∙볼의 압력(훅불기, 트럼펫근) | |||||
넓은목근 | ∙목의 피부를 주름지게 하고, 입꼬리를 당겨 슬픈 표정을 만듦 | |||||
기타 | ∙눈썹주름근: 찡그림 ∙이마근: 놀람 ∙턱끝근: 샐쭉거림 ∙눈살근: 코를 주름지게 함 | |||||
눈을 뜸 | ∙눈꺼풀올림근(눈돌림신경 지배) | 눈을 감음 | ∙눈둘레근: 눈을 감음(윙크) |
씹기근육 ∙삼차신경 지배 ★ ★ ★ | |||
∙4쌍, 아래턱뼈에 부착 ∙삼차신경의 아래턱신경 지배(나비뼈의 타원구멍) | |||
깨물근 | 관자근 | 안쪽날개근 | 가쪽날개근 |
∙음식을 갈고 부숨 | ∙아래턱의 올림 | ∙아래턱의 올림및내밈 | ∙아래턱의 내림과 내밈 |
중요 근육 ★ ★ ★ | ||
넓은목근 | ∙목의 피부밑에 넓게 퍼져 있는 근육, 얼굴신경 지배 ∙목의 피부를 주름지게 함, 입꼬리를 아래로 당겨 슬픈 표정을 만듦 |
|
엉덩관절 모음근 | ∙폐쇄신경 지배: 큰모음근, 긴/짧은 모음근, 두덩정강근 ⤷큰모음근: 가장 크고 깊은층에 위치 ⤷두덩정강근: 얕은층, 가장 안쪽에 위치, 넙다리 굽힘/모음/안쪽돌림 ∙넙다리신경 지배: 두덩근(넙다리 굽힘/모음/안쪽돌림) |
|
큰볼기근 | ∙인체에서 가장 큰 근육, 아래볼기신경 지배 | |
작은볼기근 | ∙앉은 자세에서 안쪽돌림 작용 | |
넙다리빗근 | ∙인체에서 가장 긴 근육, 넙다리신경 지배, 엉덩관절 굽힘/가쪽돌림, 무릎관절 굽힘 | |
벌레근 | ∙첫째와 둘째 벌레근(가쪽의 두벌레근)은 정중신경 지배 ∙셋째와 넷째 벌레근(안쪽의 두벌레근)은 자신경 지배 ∙MCP 관절 굽힘, IP관절 폄 작용 ∙깊은손가락굽힘근 힘줄에서 시작하여 2~5번째 손가락 끝마디뼈 바닥에 닿음 |
|
작은가슴근 | ∙안쪽 및 가쪽 가슴신경 지배 ∙어깨뼈 내림/내밈/아래쪽돌림 작용 | |
배곧은근 | ∙뼈를 지지하고 등척성 수축형태로 목뼈 굽힘에 관여한다. | |
오금근 | ∙무릎의 안쪽돌림과 굽힘에 작용 ∙무릎 굽힘 시 잠긴 무릎을 풀어주는 역할 | |
넙다리근막긴장근 | ∙위볼기신경 지배 ∙엉덩관절 굽힘 상태에서 벌림, 엉덩관절 안쪽돌림 | |
셋째종아리근 | ∙깊은종아리신경 지배, 발등굽힘, 가쪽번짐 | |
뒤정강근 | ∙정강신경 지배, 발바닥굽힘, 안쪽번짐 | |
안쪽복사 도르래 | ∙뒤정강근, 엄지굽힘근, 발가락굽힘근 | |
가쪽복사 도르래 | ∙짧은종아리근, 긴종아리근 ➜ 발바닥굽힘, 가쪽번짐 | |
궁둥뼈결절 기시 | ∙넙다리두갈래근 긴갈래, 반힘줄근 | |
작은원근 | ∙어깨관절 가쪽돌림, 벌림 작용, 겨드랑신경 지배 | |
골반 근육 | 골반가로막 | ∙골반 안의 장기가 중력에 의해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 |
허리네모근 | ∙척주가 고정되는 경우 엉덩이(둔부)를 끌어당긴다. | |
배가로근 |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릴 동안 척주를 안정화하며 배압 형성 | |
바깥항문조임근 | ∙곧창자의 대변을 수의적으로 배출할 때까지 보류한다. | |
항문올림근 | ∙항문관을 압축하고 바깥항문조임근과 요도조임근을 강화한다. | |
눈의 대각선 움직임 |
위/아래곧은근 | ∙눈동자 움직임의 왼쪽/오른쪽 방향을 결정 |
위/아래빗근 | ∙눈동자 움직임의 위쪽/아래쪽 방향을 결정 | |
예시 | ∙눈동자가 왼쪽-아래쪽을 향할 때➜ Lt.아래곧은근 Rt.위빗근 | |
입의 움직임 | 안쪽날개근 | ∙한쪽 작용 시 아래턱뼈의 반대쪽 가쪽이동 ∙양쪽 작용 시 아래턱뼈의 올림과 약간의 내밈 작용 |
가쪽날개근 | ∙한쪾 작용 시 반대쪽 가쪽이동 ∙양쪽 작용 시 아래턱뼈의 내림과 강한 내밈 작용 |
|
깨물근 | ∙아래턱뼈를 올려 입을 닫거나 아래턱뼈를 내밈 작용 | |
관자근 | ∙아래턱뼈를 올리고, 들임 작용 |
반응형
'전국 수석의 국가고시 핵심 정리 > 1교시 물리치료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부생리 part.06 <호흡계통> (0) | 2025.02.15 |
---|---|
해부생리 part.05 <순환계통> (0) | 2025.02.11 |
해부생리 part.03 <관절계통> (0) | 2025.02.06 |
해부생리 part.02 <뼈대계통> (3) | 2025.02.06 |
해부생리 part.01 <인체의 구분과 조직> (2)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