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호흡계통
허파의 구조 | |||
폐의 구조 ★ ★ ★ |
∙오른쪽 3엽, 왼쪽 2엽으로 구성 ∙오른쪽 기관지가 더 두껍고, 짧고, 더 수직(폐질환↑) ∙2겹의 가슴막으로 싸여 있다. ∙오른쪽 허파가 더 무겁고 크다. ∙회백색 ∙왼쪽 허파는 8~9개의 구역기관지로 나뉘고 허파혀, 심장패임이 있다(오른쪽은 중간엽) ∙폐 내에 채울 수 있는 전체 용적은 약 6L, 정상 성인 남성 평균 폐용량(폐활량) 4L ∙기관벽은 점막, 점막밑층, 바깥막의 3층 구조 ∙기관지 갈림부는 T5높이 |
||
해부학죽은공간 | ∙기관, 기관지 및 세기관지와 같은 공기 통로 역할만을 하는 부위 | ||
생리무효공간 |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에 관여하지 않는 허파꽈리 공간 | ||
기체교환 | ∙허파에서 기체교환은 분압차에 의한 확산으로 일어난다. | ||
기관 | ∙C자모양 연골, 항상열려있음 | 기관지 | ∙상피세포에 섬모 존재 |
세기관지 | ∙술잔세포 존재 | 호흡세기관지 | ∙허파꽈리 존재(기체교환) |
허파꽈리관 | ∙벽이 없는 불연속적인 관 | 허파꽈리주머니 | ∙큰포식세포의 식균작용 |
위쪽기도 | ∙코, 코안, 인두, 후두 ∙후두는 공기통로,발성 ∙인두는 호흡계와 소화기계에 공동으로 관여하는 근육성관 ∙코와 코안은 코털에 의한 공기여과, 공기온도상승, 가습효과, 기도 자극억제 기능 |
||
아래쪽기도 | ∙기관-기관지-(종말)세기관지-호흡세기관지-허파꽈리관-허파꽈리주머니-허파꽈리 ∙호흡세기관지부터 기체교환(17번~19번) ∙기체교환은 17번부터 23번기도 |
||
호흡 ★ |
∙대기와 허파꽈리 사이에서 공기가 들어가고 나가는 ‘환기’ 과정 (정상12~20회) ∙허파꽈리와 모세혈관 사이, 모세혈관과 조직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체교환’ ∙폐환기는 1분 동안 얼마만큼의 공기가 폐로 유입되고 유출되는가를 의미한다. |
||
호흡 작용 ★ ★ ★ |
∙갈비뼈(늑골)이 올라감, 가로막(횡경막)이 내려감 ∙가슴안(흉강)의 부피가 커짐 ∙가슴안(흉강) 내부와 폐 내부 압력이 작아져 공기가 폐로 들어옴(확산) ∙허파꽈리의 표면장력 저하 ∙바깥갈비사이근의 수축 ∙허리네모근은 들숨 시 갈비우리를 확장 ➜ 기침/재채기 시 긴장으로 허리 통증 발생 가능 |
||
외호흡 | ∙허파꽈리와 모세혈관 사이의 기체교환을 말한다. | ||
내호흡 | ∙모세혈관과 조직 사이의 기체교환을 말한다. | ||
뼈대계통 | ∙호흡계를 구성하는 뼈대계통은 등뼈, 복장뼈, 갈비뼈로 구성된 가슴우리 부분이다. | ||
근육계통 ★ ★ |
∙근육이 수축하면 가슴우리가 팽창하면서 허파 내부에 음압이 발생 ∙안정시 날숨은 수축된 근육이 이완하면서 탄성반동에 의해 발생한다. (수축X) ∙노력성 날숨에서는 날숨근육들의 수축이 필요하다. ∙최대들숨압은 가로막의 근력을 반영, 최대날숨압은 복부 근육의 근력을 반영한다. |
||
주요들숨근육 | ∙바깥갈비사이근 ∙가로막 | 주요 날숨근육 | ∙속갈비사이근 |
보조날숨근육 | ∙배곧은근, 배근육들, 골반바닥근육 | ||
보조들숨근육 | ∙목갈비근,목빗근,위뒤톱니근,척추세움근,위등세모근,어깨올림근,마름근,앞톱니근,큰가슴근 | ||
스탈링 법칙 | ∙정맥으로부터 심장으로 흘러들어오는 혈류 속도가 변할 때 심장은 유입량에 맞춰 자동으로 출력을 조절한다는 법칙 | ||
분압차를 높이는 조건(기체교환에 영향을 주는 요소:확산률이 커지는 요소) | |||
∙가스분압이 클수록 ∙표면적이 넓을수록 ∙시간이 길수록 ∙확산계수가 클수록 ∙막의 두께가 얇을수록 |
반응형
'전국 수석의 국가고시 핵심 정리 > 1교시 물리치료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부생리 part.08 <비뇨/내분비계통> (0) | 2025.04.26 |
---|---|
해부생리 part.07 <소화계통> (0) | 2025.02.27 |
해부생리 part.05 <순환계통> (0) | 2025.02.11 |
해부생리 part.04 <근육계통> (0) | 2025.02.10 |
해부생리 part.03 <관절계통>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