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관절계 해부 영역에서는 2019~2024년도 국가시험에서 모두 "관절의 형태와 분류"에 대해서 출제되었습니다.
모든 영역들 중에서도 가장 범위가 작지만 2문제 가량이 출제되기 때문에 절대로 틀려서는 안 되는 영역입니다.
관절계 해부 영역에서 분별력을 준다면, "특정 관절에만 존재하는 구조물"이 중점이 될 수 있습니다.
특정 관절에만 존재하는 구조물은 뼈대계 해부 파트에서 설명한 뼈의 "랜드마크"와 아래 관절계 해부 파트에서 설명하는 "인대"로 나누어집니다.
3. 관절계 해부
관절의 분류 ★ ★ ★ | ||||||
섬유관절 | 봉합 | 인대결합 | 못박이관절 | |||
∙머리뼈결합(관상봉합) | ∙노자/정강종아리관절 ∙뼈사이막으로 연결 |
∙치아결합 | ||||
연골관절 | 유리연골결합 | 섬유연골결합 | ||||
∙뼈몸통과 뼈끝을 연결하는 뼈끝판 ∙첫째갈비뼈와 복장뼈 사이의 관절 |
∙두덩결합 (태아 분만 시 중요) ∙척추뼈몸통사이관절 |
|||||
윤활관절 | 평면관절 | 무축성 | ∙손목뼈/발목뼈사이관절 | |||
경첩관절 | 1축성 | ∙무릎관절, 팔꿉관절, 발목관절, 손가락뼈사이관절 | ||||
중쇠관절 | 1축성 | ∙둥근 모양이거나 뾰족한 표면이 일부분은 뼈이고 일부분은 인대로 만들어진 원반 모양에 꼭 들어맞음 ∙고리중쇠관절, 몸쪽노자관절 |
||||
타원관절 | 2축성 | ∙손목관절, 손허리손가락관절, 고리뒤통수관절, 턱관절 | ||||
안장관절 | 2축성 | ∙복장빗장관절(3축성), 엄지의 손목손허리관절(2축성) ∙수정된 타원관절로 좋은 관절의 안정성을 보임 ∙굽힘/폄, 벌림/모음, 약간의 돌림운동 |
||||
절구관절 | 3축성 | ∙오목위팔관절, 엉덩관절 | ||||
복합관절 | ∙3개 이상의 뼈가 결합된 관절을 말한다 (팔꿉관절, 손목관절, 발목관절) | |||||
융기관절 ∙분류x 형태o |
∙타원관절에 속하지만, 타원관절보다 얕은, 평형한 형태의 오목면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무릎관절, 고리뒤통수관절, 손허리손가락관절이 있다. ∙무릎관절은 경첩관절이지만, 반달연골로 인해 융기관절 형태를 가진다. |
중요 관절의 구조 ★ ★ ★ | ||
구조물 | 관절연골 | ∙뼈의 끝부부분을 덮고 있으며, 관절면은 “유리연골”로 덮여 있다. ∙관절연골 아래 연골밑판은 탁력성 있는 해면뼈로, 관절을 보호한다. |
관절주머니 | ∙섬유막(바깥층), 윤활막(속층)으로 2겹의 막으로 이루어진다. ∙뼈와 접촉하는 관절의 마찰을 적게 도와준다. |
|
윤활주머니 | ∙윤활액을 분비하며 관절의 운동성을 돕는다. | |
턱관절 | ∙1축 관절, 타원관절(윤활) ∙가쪽인대로 보강되어 있다 ∙관절테두리無, 디스크有 ∙아래턱뼈의 관절돌기와 관자뼈의 턱관절 오목 및 관절결절로 이루어짐 ∙초기 단계에서 돌림운동이 주로 일어난다. (후기는 병진운동) |
|
고리중쇠관절 | ∙C1-C2 사이 관절, 중쇠관절 ∙뒤통수고리십자인대有 ∙치아돌기를 중심으로 돌림운동이 일어나는 척추뼈 ➜ 중쇠뼈 |
|
봉우리빗장관절 | ∙봉우리빗장인대, 관절 근처 부위(부리빗장관절)에 원뿔인대와 마름인대 위치 | |
복장빗장관절 | ∙관절원반이 위치하여 운동의 범위가 상대적으로 넓고 관절을 지지하고 유연성을 제공하는 4개의 인대가 위치한 관절 |
후두연골 6종 9개 ★ ★ | |
방패연골 | ∙가장 크다 ∙Adam’s apple |
반지연골 | ∙반지모양 연골로 뒤는 넓은 판 형태이며 얇은 폭이 작은 궁 형태를 이룬다. |
후두덮개 | ∙삼킴작용을 할 때 후두덮개는 후두입구를 막아 음식물 역류를 방지 |
잔뿔연골 | ∙원추상의 탄력성 연골 |
쐐기연골 | ∙후두덮개와 모뿔연골 사이 주름 안에 있다. |
모뿔연골 | ∙성대의 위치와 긴장도를 조절 ∙발성에 관여 ∙성대돌기와 근돌기(후두근 부착) ∙한쌍 |
엉덩관절 인대 ★ ★ ★ | |
엉덩넙다리인대 | ∙역Y자 ∙폄 제한 ∙가쪽돌림 제한 ∙엉덩관절에서 가장 강하고 뻣뻣한 인대 |
두덩넙다리인대 | ∙앞쪽을 보강 ∙벌림/폄 제한 ∙약간의 가쪽돌림 제한 |
궁둥넙다리인대 | ∙삼각형 모양, 뒤쪽을 보강 ∙모음/안쪽돌림 제한 |
넙다리뼈머리인대 | ∙관모양의 결합조직, 안정성의 기여는 작다, 절구동맥의 통로를 위한 보호관 |
절구테두리 | ∙관절면을 증가 ∙엉덩관절의 앞쪽 변위를 방지, 가쪽돌림 동안의 2차적인 안정성을 제공 |
무릎 인대의 손상 기전 (CKC에서는 돌림이 반대) ★ ★ ★ | |
안쪽반달연골 | ∙정강뼈 가쪽돌림 ∙정강뼈 밖굽이력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갑자기 폄시킬 때 |
가쪽반달연골 | ∙정강뼈 안쪽돌림 ∙정강뼈 안굽이력 ∙무릎을 굽힌 상태에서 갑자기 폄시킬 때 |
앞십자인대 | ∙과다 폄 ∙앞쪽 어긋남 ∙정강뼈 안쪽돌림 ∙CKC 상테에서 밖굽이력 ∙30~90°범위에서 운동 시작 ∙약간 굽힘 상태 고정 |
뒤십자인대 | ∙뒤쪽 어긋남 ∙0~60°범위에서 운동 시작 ∙완전 폄 상태로 고정 |
안쪽곁인대 | ∙과다 폄 ∙밖굽이력 ∙정강뼈 가쪽돌림 |
가쪽곁인대 | ∙과다 폄 ∙안굽이력 ∙정강뼈 안쪽돌림 |
불행삼주징 | ∙앞십자인대, 안쪽 반달연골, 안쪽곁인대의 손상이 함께 발생 |
- 무릎 관절을 구성하는 인대는 인대의 형태나 기능보다는 "운동학", "근골격계 중재" 파트에서 "병리운동학" 측면으로 출제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발 인대 ★ | |
발바닥널힘줄 | ∙발가락서기에서 권양기 효과 ∙안쪽세로활 유지를 위한 결속막대 역할 ∙안쪽세로활 유지를 위한 일차적인 수동지지구조 |
바닥쪽발꿈치발배인대 | ∙용수철인대라고 불리며, 발목을 형성하는 인대 중 탄력성이 많고 목말뼈머리를 받쳐서 발바닥활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
세모인대 | ∙발목 안쪽 위치, 가쪽번짐 시 손상 |
발목 가쪽 인대 | ∙앞목말종아리인대 ➜ 목말종아리인대 ➜ 뒤목말종아리인대 순으로 손상 |
반응형
'전국 수석의 국가고시 핵심 정리 > 1교시 물리치료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부생리 part.06 <호흡계통> (0) | 2025.02.15 |
---|---|
해부생리 part.05 <순환계통> (0) | 2025.02.11 |
해부생리 part.04 <근육계통> (0) | 2025.02.10 |
해부생리 part.02 <뼈대계통> (3) | 2025.02.06 |
해부생리 part.01 <인체의 구분과 조직> (2)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