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국 수석의 국가고시 핵심 정리/2교시 물리치료 중재

근골격계 중재 part.02 <근육 질환> <척추 질환>

by 피티구 2025. 2. 12.
반응형
근육 질환
근육질환
진행성
근이영양증
∙호흡근 침범
∙신경계 정상
∙디스트로핀결핍
∙유전적
∙거짓비대
∙몸쪽↑
∙대칭성
성염색체 반성
∙X-연관열성유전
뒤시엔느형 ∙남아↑ ∙가우어스방법
∙메이온스징후
∙오버 검사
∙토마스 검사
베커형 ∙비교적양호
상염색체 열성 이음형 -
상염색체 우성 얼굴/어깨형 ∙안면 이환
운동치료 엉덩관절 폄근, 넙다리네갈래근 근력 강화 운동
∙엉덩관절 굽힘근, 넙다리근막긴장근, 장딴지근 뻗침 운동
중재 보행단계 의자차 단계 침상 단계
ROM, 근력, 유산소 구축, 욕창, 호흡 욕창, 순환장애 치료
중증성근무력증
∙호흡근 침범
∙아세틸콜린 병변
∙자가면역성 질환
∙안검하수, 복시, 삼킴곤란 ∙아세틸콜린 수용체 수의 감소
∙잠행성 ∙여자↑∙약하게/중간 강도 운동
선천성 근무긴장증
∙오펜하임병
∙아세틸콜린 병변
∙자가면역성 질환
∙넙다리 침범↑
태어날 때 뇌의 장애
∙척수의 앞뿔세포의 발육부전으로 발생 ∙휴식 시 증상無
∙눈꺼풀 쳐짐, 복시 ∙냉에 민감하여 노출시 경련 증가
선천성
근긴장증
∙종아리 침범↑
∙다리 > 팔 침범
운동 시 수의근 경련 ∙쥐기/타진성 근긴장증 ∙가성비대
톰슨형: 얼굴/눈/혀 등 증상 심함 ∙베커형: 20대 이후 멈춤

 


 

척추 질환
척추질환
추간판탈출증
∙굽힘 시 통증
∙20~40세 젊은 층多 ∙가쪽 탈출 ∙뒤세로인대의 약화 ∙목에서는 C5-C6多
분류 돌출 ∙섬유테두리 바깥 부분이 정상(팽윤 상태)
탈출 ∙섬유테두리가 찢어져 속질핵 이탈
분리 ∙속질핵이 이탈하여 파편을 형성
운동 치료 맥켄지 운동(척추 폄 자가치료)
⤷척추압박을 감소시키는 자세를 통해 신경학적증상 감소화
칼리에트 운동(배근육 강화를 통한 골반의 후반 경사 유도)
골드웨이트 운동(등척성 수축을 통한 배근력 강화 운동)
엠브라스 운동(허리폄근육과 배가로근 강화/Disc 운동)
Shoulder type ∙환측으로 가쪽굽힘 시 같은 방향에서 통증
Axillary type ∙건측으로 가쪽굽힘 시 반대 방향에서 통증
퇴행성척추염 ∙척추사이원반의 변형 ∙뼈돌기 형성, 후관절 퇴행, 연관통, 저림감
∙관절연골 마모, 남성多, 허리뼈多 ∙아침굳음현상
∙기침, 보행시 통증 증가, 옆굽음증을 보이고 앞굽음증 감소
∙누름 통증(압통)은 심하지 않은 편(허리 삠과의 차이) ∙골성 강직 없음
허리를 굽히면 통증 감소 ∙척추뼈몸통의 높이 감소, 골극 형성(추체교각)
강직성척추염
∙뒤굽음증
∙폄근 강화
∙Bamboo spine ∙만성 진행성 염증성 질환 ∙10~20대 젊은 남성 주로 호발
∙유전적 가능성(HLA-B27) ∙뒤세로인대의 석회화전신적 증상 ∙척주뒤굽음증
∙엉덩/무릎관절 굽힘 구축허리/엉치부(SIJoint) 통증으로 시작 상행성 진행
쇼베르 검사(허리를 숙여, 요추부 운동성을 측정) ∙가슴우리확장 검사
패트릭 검사(FABERTest, 화베르 검사, 4자 검사(엉덩관절/천장관절 검사)
∙척추, 엉덩관절 폄근/벌림근 강화 운동, 엉덩허리근 뻗침 운동, 복식 호흡훈련 진행

 

척추질환
척추관협착증
∙폄 시 통증
∙척추뼈사이구멍이 좁아짐 ∙남성多, 40~50대 주로 호발
∙비후된 고리판, 황색인대의 팽윤과 Disc∙L4중앙 척주관의 협착多
허리가 폄 시 통증 증가Buckling 현상, 대소변장애, 척추전방전위증 발생
∙바빈스키, 호프만, 스퍼링 징후, 레르미트 징후(머리를 숙이면 다리 방사통 발생)
∙바로 누운 자세에서 무릎을 가슴쪽으로 가져오기 운동 실시
∙간헐적 파행증 검사 ➜ van Gelderen의 자전거 타기 검사
⤷허리를 편 상태에서 타고 통증 확인, 그후 허리를 굽히고 통증 경감 확인
척추분리증 ∙관절간부의 결손, 스트레스 골절 ∙방사통이 없는 편측성 허리통증
Scottie’s dog(개목걸이) ∙양측성은 척추전방전위증으로 발전
등뼈뒤굽음증 ∙활모양등, 둥근등, 켈소의 곱사등이, 굽음증 각도 45°이상
∙시몰스 결절 발생, 허리뼈 부위 과다 앞굽음 ∙뒤세로인대와 몸통폄근 신장
척추전방전위증 ∙상부 척추가 앞으로 전위 ∙L5-S1 > L4-L5 ∙허리 앞굽음이 증가윌리엄운동실시
SP sign(방사선상 가시돌기 징후를 통해 골절성과 퇴행성의 차이 구별 가능)
∙쉬면 증상이 사라짐 ∙아침 통증과 활동 시 통증 ∙배가로근 강화 운동 실시
골절성 ∙양측 관절간부의 골절: 미끄러진 레벨 위에서 단락 형성
퇴행성 ∙척추 전체의 전방 전위: 미끄러진 레벨 아래에서 단락 형성
척추후관절증후군
∙폄 시 통증
∙통증은 대부분 허리부에 국한 ∙운동 시 통증 발생, 허리 폄 시 통증 증가
∙신경학적 증상이 없고 통증이 갑자기 발생 ∙정형도수치료에 극적인 양호 반응
∙관절놀이 검사, 사분원 검사(허리의 여러 동작을 결합이 움직여 보는 검사)
목 삠과 채찍질 손상 가속 손상 ∙젖힘 손상: 뒤에서 차가 박음
⤷앞목근육, 앞세로인대 신장/가시돌기, 척추후관절 압박 손상
감속 손상 ∙과굽힘손상: 급정지와 앞차를 박음
⤷뒤목근육,목덜미인대,가시사이인대,가시끝인대,뒤세로인대 신장
⤷척추뼈몸통 압박 손상
운동 치료 ∙등척성 ➜ 능동보조 ➜ 능동 ∙고정 대신 조기 운동을 강조
궁둥구멍근 증후군 ∙기능활동 동안 엉덩관절 모음과 안쪽돌림을 초래하는 엉덩관절 폄근과 벌림근의 약증으로 인하여 궁둥신경의 압박과 궁둥구멍근의 과사용이 원인
∙궁둥구멍근의 뻗침은 굽힘-모음-안쪽돌림(엉덩관절 90°굽힘 시 가쪽돌림)
∙옆으로 누워 취침 시 무릎에서 발목까지 베개를 이용하여 다리를 지지해준다.
∙장시간 다리를 꼬지 않는다(굽-모-안), 수시로 뻗침운동을 한다.

 

반응형